영산강 수질오염이 심각한 상태다. 특히, 수질오염으로 인해 기형어가 출현하는 등 농업용수로도 활용하기 어렵다는 용역조사 결과가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이 지난해 5월부터 올 9월까지 약 16개월간에 걸친 실시한 “영산호 수질개선 타당성조사 용역”결과 영산호의 수질이 지금까지 발표된 환경부의 수질측정망 측정 결과보다 오염이 훨씬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은 현재 환경부가 운영중인 수질측정망 측정결과 화학적산소요구량인 COD가 3급수인 3.1 ~6.7 ppm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번 용역 결과 영산호 상류지역 일부 구간의 COD가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4급수, 8ppm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소의 부영양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영양분인 총인(T-P)과 총질소(T-N)의 경우 대부분의 지점이 5급수를 초과했고, 특히 상류 몽탄대교 지역은 물고기가 살기 어려운 6등급의 수질로 나타났다
영산호 어류 생태 조사 결과 유해 물질 영향으로 추정되는 기형어 등이 발견됐고, 주민들의 위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대장균군은 호소 수질기준인 5,000군수/100㎖를 4배 이상 초과한 최대 24,200군수/100㎖까지 측정, 피부를 접촉할 경우 설사나 장염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영산호 퇴적물의 준설 타당성에 대한 조사 결과 1981년 영산강에 하구둑이 조성된 후 영산호에는 매년 13㎝씩 퇴적물이 쌓여 현재 모두 5천9백만톤이 쌓여 있으며, 이로 인한 영산호 용적(총 2억5천만톤)이 23%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질개선을 위한 퇴적물 준설할 경우, 약 1조 700억원이 소요되고 영산호 하구언 앞 지역 등을 부분 준설을 할 경우에도 3,600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퇴적물을 준설 할 경우 준설 초기에는 어느 정도 수질개선 효과가 있으나 약 2년이 경과한 후부터는 그 효과가 크게 반감돼 경제적인 타당성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 데다 준설토 처리과정에서 악취와 해충 발생 등 2차적인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음이 지적됐다.
이에 따라 수질개선을 위해 해수유입 등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운영중인 배수갑문을 조작해 해수 일부를 유통시키거나 향후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의 영산강유역종합치수계획에 따라 추진될 예정인 배수갑문 확장 공사(현 240m →480m)를 통해 수문의 일부를 개방형으로 변형하는 방안과 영산호 내에 저층수 배제시설을 설치, 내부에 쌓여가는 퇴적물을 하구둑 밖으로 배출하는 방안 등이 필요하다는 것.
전남도는 범 정부차원의 "영산호관리위원회”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환경부와 국무조정실,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등을 방문, 조속한 구성을 요청할 예정이다.
전남도는 “영산호 수질 개선을 위한 혁신적인 대책의 도입에 따른 중앙부처의 이해와 도민 공감대를 적극적으로 조성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