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기개발연구원, 경기도민 10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발표

경기도민 3명 중 2명, 교통사고와 치안사고 가장 불안

  •  

cnbnews 이병곤기자 |  2015.03.25 08:57:15

경기도민 3명 중 2명은 생활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로 교통사고와 치안사고를 꼽았다.
이는 경기개발연구원이 지난 1월 30일 경기도민 1000명(10~50대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95% 신뢰수준, 오차범위 ±3.10%) 결과로 생활안전 분야는 화재, 교통, 치안, 자연재해, 환경오염, 질병, 시설물재해 등 총 7개다.

응답자 34.2%는 교통사고를 32.1%는 치안사고를 생활안전을 위협하는 주된 요소로 선택했으며 남성은 교통사고(40.0%)를 여성은 치안사고(36.6%)를 우선으로 꼽았다. 연령별로는 10대(38.5%)와 20대(40.5%)가 치안사고를 30대 이상은 교통사고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반면 안전분야 정보서비스 제공 선호도에서는 치안분야(42.9%)가 교통분야(18.5%)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특히 치안분야에 대한 정보서비스 요구는 여성(49.2%), 30대 이하(45.0%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생활안전정보 제공유형 선호도 조사에서는 교통, 치안, 환경오염, 질병, 시설물분야 등 대부분에서 위험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관심정보를 선호했다.

자연재해는 위험발생 시 피난처, 행동요령 등의 대처 및 사후처리에 관한 위험대처정보에 환경오염과 질병분야는 실시간으로 발생한 위험현황정보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안전정보 제공이 실제 지역의 안전문제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질문에는 절반 이상(51.4%)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옥진아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빅데이터로 만드는 경기도 안전대동여지도는 인근 지역의 생활안전 위험성을 인식하고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로 제공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참여·개방형 플랫폼 구축을 강조했다.

옥 연구위원은 “안전대동여지도는 통합정보 서비스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안전취약지에 대한 관리와 행정적인 개선안을 도출할 수 있는 정책지원 시스템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CNB=이병곤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