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락기자 |
2015.05.10 19:33:20
▲사진제공=강릉시
(CNB=최성락 기자) 강릉시는 8일 시청 2층 대회의실에서 읍면동 복지 담당자 및 민간보조인력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맞춤형 복지 급여 시행에 따른 교육을 실시하고 본격적인 제도 시행 준비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맞춤형 급여란 생계, 의료, 주거, 교육 등 각 급여별 특성에 맞게 급여별 보장 수준 현실화, 수급자 선정기준 다층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를 통해 저소득층의 사회보장을 강화하며 소득이 증가해도 필요한 급여는 계속 지원해 일을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이다.
시에서는 선정 기준 다층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으로 지금까지 부양의무자 기준이 초과돼 도움을 받지 못 했던 저소득층의 신청 폭주가 예상됨에 따라 지난 3월 '맞춤형 복지급여 TF팀'을 구성해 제도가 원활하게 개편될 수 있도록 사전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또 제도 자체를 몰라 신청을 못하는 사례가 없도록 홍보를 강화하고 담당자 교육 실시, 인력 보강 등을 통해 현장의 혼돈을 최대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맞춤형 복지급여 제도로 개편되면 수급자가 3,000여 명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오는 6월 1~12일까지 집중 신청 기간을 운영할 예정이다.
급여 대상자로 결정되면 7월부터 본격적으로 급여가 지원된다.
시 관계자는 "기초생활보장 제도 개편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할 것 "이라며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도움이 필요한 주민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 "고 밝혔다.
한편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개정됨에 따라('14년 12월 9일 자) 오는 7월 1일부터 기초생활보장제도가 맞춤형 복지급여체계로 개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