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발연, '동남권 대기관리청' 설립 등 맞춤형 미세먼지 대책 필요

배출원·단계별 저감대책 수립, 미세먼지 현안 대응 TF팀 운영 등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5.05.18 14:19:51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배출원·단계별 저감대책 등이 필요하고 ‘동남권 대기관리청’을 설립해 광역적 미세먼지 협조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다.


부산발전연구원은 18일 BDI 정책포커스 ‘건강한 생활환경을 위한 맞춤형 미세먼지 관리방안’ 보고서를 내고 이 같은 미세먼지 관리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아주 가늘고 작은 먼지 입자로 대부분 연료연소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발생한다”며 “미세먼지를 장기간 흡입할 시 천식이나 폐질환 유병률, 조기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부산의 미세먼지 농도는 48㎍/㎥(PM10, 연간 평균치)로 환경기준(50㎍/㎥)을 충족하고 있으며 전년에 비해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로는 5월이 71㎍/㎥으로 가장 높았고 8월은 36㎍/㎥으로 가장 낮았으며, 7월 이후로는 환경기준(연간 평균치 50㎍/㎥) 이하로 관측됐다.


관측지점·지역별 미세먼지 관측농도분포(연간 평균치)를 보면 2014년 현재 최저 34㎍/㎥(기장읍)~최고 60㎍/㎥(장림동․녹산동)으로 나타났다. 서부 공업지역 일대가 환경기준 이상으로 높으며 해안에 가까운 기장읍․용수리․광안동 측정소는 상대적으로 낮게 관측됐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양진우 선임연구위원은 미세먼지 관리방안으로 ▲지역과 광역 차원 시책의 연계 추진체계 마련 ▲배출원·단계별 저감대책 수립 ▲미세먼지 현안 대응 TF팀 운영 ▲승용차 요일제 참여 운동 확산 ▲ICT 기반의 대기질 정보 제공 및 체감형 홍보 프로그램 발굴 ▲‘동남권 대기환경청’(가칭) 설립 및 ‘부울경 광역 대기환경관리계획’ 수립 등을 제시했다.


그는 “부산의 미세먼지는 항만도시 특성 등에 의한 비도로 이동오염원 등에 의한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실정”이라며 “배출원별 배출량 등의 조사․분석을 통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상황을 분석해 신뢰성 높은 예·경보제 운영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며 “특히 미세먼지보다 건강 위해성이 큰 초미세먼지 출현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산의 미세먼지는 외부 배출원도 상당하기 때문에 부산시 대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동남권 대기환경청’(가칭)을 설립해 광역적 대기환경관리를 위한 ‘부울경 광역 대기환경관리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 등 수도권은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10년마다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양 선임연구위원은 “배출가스 매연저감장치 부착으로 미세먼지 배출량의 50∼90% 저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운행차 등의 배출가스 저감대책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지난해 참여율 30% 수준인 승용차 요일제 참여를 확산하는 운동을 범시민적으로 전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CNB=최원석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