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울주군, 선도적인 방사능방재체계 구축

1일 조직개편에 따른 해양원전과 출범

  •  

cnbnews 석동재기자 |  2015.07.01 19:13:31

 

울주군은 1일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이 원전 반경 최대 30㎞로 확대됨에 따라 방사능방재체계 구축 등 방사능방재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방사능방재 추진계획은 총 5개 분야로 방사선비상계획분야와 교육훈련분야, 시설·설비 확충분야, 장비·물자 확충분야, 방재인프라 구축분야로 수립이 되어 있다.

 


주요내용을 보면 비상계획분야에는 지역방사능방재계획 개정, 수행절차서(임무카드) 작성, '원자력안전분야' 현장조치 매뉴얼 개정, 방사능재난 대응 MATRIX 작성 등이 7월에서 10월까지 순차적으로 추진이 되며, 교육훈련분야에는 지난 4월부터 실시하고 있는 마을 주민교육을 비롯해 권역별 주민교육, 방사선비상 대비 부분훈련, 주민보호조치 종합훈련, 훈련프로그램 제작 및 교육훈련센터 건립 등 중장기 추진사업도 포함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환경방사선감시기 연차적 설치와 재난문자통보시스템.경보방송망.무선통합운영시스템 구축, 재난대응 거점센터 건립, 갑상선방호약품 비축, 대응요원 방호물자 확충 등 시설·설비 및 장비·물자를 연차적으로 구축·확충할 계획이며, 특히 방사선비상 시 주민보호조치를 위한 구호소 지정, 수송수단 동원, 교통통제, 치안유지, 주민대피로 확충, 구호물자 긴급조달업체 동원, 관계 법령 정비 등이 눈에 띈다.


울주군 해양원전과장은 "원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은 극히 낮지만 고리와 월성에서 원전사고가 발생한다면, 우리 군을 포함한 시 대부분이 위험지역인 방사선비상계획구역에 포함된다" 며 "100만명이 넘는 시민의 안전을 위한 방사능방재체계가 빠른 시일 내에 구축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중앙과 광역 차원의 광의(廣義)적인 업무추진과 인근 기초지자체와 연계한 체계적인 협업이 가장 중요하고, 이에 따르는 각종 방재사업의 예산 확보가 수반되어야 한다" 고 밝혔다.


이에 앞서 울주군은 2011년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부터 매년 환경방사선 이동탐사, 주민 교육, 방재훈련, 주민·학생·공무원 원자력안전 현장견학, 원자력안전 홍보매체(홈페이지, 웹, 앱) 구축 등 방사능방재 업무에 있어 원전 소재 타 지자체 보다 선도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