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오성목 네트워크부문장이 ‘IoT 라이프텍재킷 Marine’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KT)
지난해 산악지역 재난안전통신 솔루션을 공개했던 KT가 올해는 ICT 기술을 활용한 해상안전 솔루션을 공개했다.
KT는 5일 광화문 KT스퀘어에서 해양수산부, 코오롱, 노키아 등 정부기관과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간담회를 열고, LTE 커버리지 확대 기술과 IoT 구명조끼 등 해상안전 솔루션을 공개했다.
먼저, KT는 ‘LTE 타임 어드밴스(Time Advance)’ 기술 기반의 ‘초수평안테나배열시스템(OTHAD: Over The Horizon Antenna Distribution)’을 개발해, 기존 50km 내외의 해상 LTE 커버리지를 중계기 없이 최대 200km까지 커버리지를 확대하는데 성공했다.
KT는 ‘초수평안테나배열시스템’을 제주도 한라산에 설치, 서남방으로 185km 떨어진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서 LTE 기반의 영상통화에 성공해, 그간 위성전화에만 의존했던 이어도에서도 인터넷 활용은 물론 긴급 상황전파 및 구조요청이 가능해졌다.
KT는 태백산에도 ‘초수평안테나배열시스템’을 설치해 강원도 해안에서부터 울릉도까지 LTE 커버리지를 확보했으며, 향후 고지중계소를 활용해 해상 LTE 커버리지를 지속 확대해나간다는 계획을 밝혔다.

▲KT 오성목 네트워크부문장이 새롭게 출시 예정인 ‘IoT 모듈’을 선보이고 NB-IoT(협대역 사물 인터넷)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KT)
두 번째로, KT와 코오롱인더스트리(이하 코오롱)는 재해재난 혹은 커버리지 제한으로 통신이 힘든 상황에서도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구조율을 높일 수 있는 ‘IoT 라이프텍재킷 마린(이하 IoT 재킷)’을 공동 개발했다.
‘IoT 재킷’은 일반 아웃도어 점퍼처럼 착용 가능하며, 조난자가 물에 빠지는 긴급상황 발생 시 수압감지센서가 작동해 자동으로 구명튜브가 팽창된다. IoT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 조난자의 위치정보와 심박수 등 건강상태를 주기적으로 재난 상황실로 전달한다.
KT와 코오롱은 ‘IoT 재킷’이 구조활동에 어려운 야간에도 위치정보를 전달해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강상태와 ID정보를 토대로 구조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외에도 KT는 IoT 서비스 확산을 위한 ‘NB-IoT(협대역 사물 인터넷)’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2016년 하반기에 ‘NB-IoT’ 시범망을 구축하고 필드테스트를 완료하며, ‘17년 상반기까지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KT 네트워크부문 오성목 부사장은 “해양수산부, 코오롱, NOKIA 등 여러 기관의 협업으로 재난안전통신 솔루션 개발에 이어 해상 안전 통신 솔루션까지 범위를 확대하게 되었다.”라며 “앞으로도 KT는 국민기업으로써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