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기연구원, "인공지능 허브 구축해 인공지능시대에 대비해야"

판교 테크노밸리 중심으로 인공지능 허브 구축해 기술경쟁력강화와 일자리 창출해야

  •  

cnbnews 이병곤기자 |  2016.12.15 15:18:23

인공지능 산업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는 판교 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허브를 구축해 인공지능시대에 대비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인공지능의 명암’ 보고서에 수록된 인공지능 인식조사에 따르면 인공지능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로봇(39.3%)’이며 향후 ‘15년 이내(83.4%)’에 인공지능이 일상에 보편화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인공지능 인식조사는 지난달 25일 전국 1534명의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모바일로 진행한 뒤 이 중 인공지능기술을 인식하고 있는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최종분석을 통해 이뤄졌다. 조사의 신뢰수준은 95%, 오차범위는 ±2.49%P다. 또한 인공지능기술이 가장 활성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는 ‘자율주행자동차(45.7%)’, 가장 필요한 분야는 ‘의료서비스(49.6%)’라고 답했다.


응답자 10명 중 9명은 인공지능의 기술 발전에 긍정적(91.9%)인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삶의 질이 향상될 것(62.4%)’이라는 인식이 높았다. 반면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인공지능으로의 대체로 일자리가 감소될 것(58.1%)’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바람직한 인공지능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인공지능의 적용 범위와 자율성 등 사회·윤리측면의 ‘인간 기본권 보호를 위한 법·제도 마련(56.4%)’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영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인공지능시대에 대비해 일자리 감소와 계층 간 양극화, 인공지능의 역할·권한 확대에 따른 윤리적 문제에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인공지능의 기술발전은 제조업의 생산성 증가 등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반면 일자리 대체로 인한 ‘일자리 감소’라는 부정적 측면이 예상된다. 또한 인간의 생활을 다방면으로 지원해 삶의 질을 향상되지만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소외계층이 발생할 수 있다.


인공지능의 역할과 권한이 확대되는 추세로 최근에는 인공지능에 자율성을 부여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인공지능이 윤리적 문제에 대해 위험한 판단을 할 경우 의사결정 방식에 대한 합의가 필요한 상황으로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정책방안으로 인공지능 산업생태계 구축, 의료·노인생활지원 등 인공지능기반 복지서비스의 필요계층 제공 위한 지원체계 마련, 인공지능의 비윤리적·부정적 판단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제시했다.


배 연구위원은 “현재 인공지능 R&D, 기술사업화를 위한 산업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는 판교 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허브를 구축해야 한다”며 “인공지능 SW기술개발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해 R&D 투자 확대와 전문인력 양성, 관련 분야 스타트업을 육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CNB=이병곤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