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기연구원,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V: 웰빙’ 보고서

경기도 1인 가구, 인간적 교류 없으면 삶의 만족도 41%로 최하위 수준

  •  

cnbnews 이병곤기자 |  2017.07.30 12:32:15

▲가구원 수에 따른 삶의 만족도


경기도 1인 가구 49.8%가 ‘삶에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이 수치는 2인 이상 가구(56.8%)에 비해 낮은 것으로 4인 이상 가구(60.7%)와 비교해도 10%이상 차이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이 지난 26일 낸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V: 웰빙’ 보고서에 따르면 1인 가구 중 여가시간을 ‘가족’과 보내는 경우(61.9%)에 ‘삶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직장동료(52.7%), 친구·지인(49.6%), 동호회(48.7%), 혼자(40.6%) 순이었다.

다만 1인 가구 중 인간적 교류가 없는 경우 삶에 만족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최하위이지만 반려동물이 있는 경우(45.5%) 삶의 만족도는 증가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경기도민 중 삶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절반 수준인 57%였고, 여성의 경우 48.6%, 남성의 경우 56.1%로 나타나 여성에 비해 남성이 더 높았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4.3%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 그 다음이 70대 52.4% 순이었다.

▲1인 가구 중 여가시간을 누구와 함께 보내는지에 따른 삶의 만족도(자료=경기연구원)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1인 가구의 삶의 질은 다인 가구에 비해 낮고, 건강인식 역시 4인 이상 가구 대비 11% 이상의 격차가 있다. 1인 가구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수준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책 방안으로 전 연령층 1인 가구에 대한 생애주기별 정책적 관심 전환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생애주기별 1인 가구에 대한 사회적 돌봄 및 심리지원 서비스 등의 지원정책 마련을 제안했다.

특히 이 연구위원은 “최근 1인 가구의 증가는 특정 세대뿐만이 아닌 전 연령층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현상으로서 1인 가구는 우리사회의 보편적인 가구유형 중 하나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동안 독거노인 등 특정 연령층이나 취약계층에 한정돼 있던 정책적 관심을 생애주기별 전 연령층의 1인 가구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NB=이병곤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