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석기자 |
2017.08.14 18:11:34
▲최동주 숙명여대 교수가 11일 오후 동아대 승학캠퍼스 인문대 7층 세미나실에서 '인문역량 강화와 국제교류 활성화 전략'을 주제로 특강을 하고 있다. (사진=동아대)
동아대 인문역량강화(CORE, 코어) 사업단 초청으로 부산을 찾은 최동주 숙명여대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장은 최근 동아대 승학캠퍼스에서 열린 '인문역량 강화와 국제교류 활성화 전략'이라는 제목의 특강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의 인문학적 역할과 사회적 책임을 특히 강조했다.
최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의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과학기술에만 투자하는 잘못을 범할 수 있는데, 산업 경쟁이 아니라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인적자원을 키워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대학이 ‘미래지향적 이타성’을 갖출 것을 강조했다.
그는 이런 의미에서 “교육중심대학을 표방하는 동아대가 코어 사업으로 대학의 근간인 인문학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며 “코어 사업은 대학을 살찌우는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대학의 사회적 책임도 당부했다. 최근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되고 있는 고위층의 이른바 '갑질'을 언급하며, “이제 사회는 '디그니티'(dignity, 품위·존엄)를 지키면서 창의적으로 도전하는 환경을 갖춘 조직과 인간적인 리더를 원한다”고 주장했다. 또 수평적 사회와 초연결 네트워크 사회에 접어든 만큼, 대학을 서열화하던 과거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했다.
아울러 그는 대학의 국제화 전략에 대해 “협약 기관의 수보다는 중점교류협력기관, 잠재교류협력기관 등으로 그룹을 나눠 집중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어 “학생들의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그 역량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장을 열어주기 위해서는 학생들을 끌어안고 같이 가는 방향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대학의 무형적 가치가 어마어마하게 상승한다는 것이다.
그는 “앞으로 이타적인 감정, 돌봄, 상호이해, 소통기술, 함께 사는 법 등이 교육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코어 사업의 결과물이 '지식 외교'를 통한 세계 시민 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으로 연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 교수는 영국 런던대 동아프리카대학(SOAS) 대학원 정치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포스코 경영연구소 연구위원, 서울대 초빙교수, 국제정치학회 이사, 인도 사회과학연구소 CRRID 외국인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CNB=최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