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후 동아대 부민캠퍼스 김관음행홀에서 열린 '제1회 윤리적 인공지능 로봇 워크숍'에서 김종욱 동아대 교수가 '인공적 윤리 행위자(AMA, Artificial Moral Agent)' 기술 개발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동아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인 인공지능과 로봇공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윤리적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올 초 EU의회에서는 인공지능 로봇의 법적 지위를 '전자 인격체(Electronic Personhood)'로 지정하는 결의안이 통과됐고, 최근 우리나라 국회에도 로봇 윤리를 명문화한 '로봇기본법'이 발의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 개발을 윤리·법·이론 등 종합적인 관점에서 모색하는 첫 번째 워크숍이 지난 18일 오후 동아대 부민캠퍼스 김관음행홀에서 열렸다. '바로가기(바르게 로봇을 만드는 옳은 재주)'라는 제목이 붙은 이 워크숍은 동아대 인공지능·로보틱스 연구실과 서울교대 윤리교육과, 한국로봇학회 로봇윤리연구회가 주최했고, 전국 대학 교수와 전문가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윤리적 인공지능이란, 인간의 규범과 가치를 이해하고 준수하는 능력을 인공지능에 부여하는 동시에 사고 방지를 위해 인공지능의 투명성 확보, 사고가 났을 때 책임을 규명하는 기술로써 세계적 화두가 되고 있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동아대-서울교대 연구팀이 공동 개발 중인 'AMA(Artificial Moral Agent, 인공적 윤리 행위자)' 기술을 소개하고 이러한 기술의 쟁점과 과제, 로봇기본법의 의미와 전망 등을 인문학·사회학·법학·철학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AMA 기술 개발 현황을 설명한 김종욱 동아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사람들은 로봇을 의인화해 쉽게 공감하기 때문에 로봇이 문제를 일으켜 인간의 기대를 저버리는 경우 실망도 크다”며 “인간의 권리를 최대화하고 자연 환경을 보존하며 위험 요소를 최소화하는 것이 로봇 윤리 연구의 가장 중요한 원칙”이라고 말했다.
'로봇기본법 의미와 전망'에 대해 발표한 하태영 동아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로봇 윤리는 곧 로봇에 관여하는 사람들의 윤리”라며 “로봇 설계자·제작자·판매자·대여자·사용자들이 철학을 갖추고 사회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인간과 공존하는 시스템 작동의 적정선을 찾는 것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과제”라고 말했다.
이밖에 김효은 한밭대 교수가 '윤리적 설계의 쟁점과 과제', 변순용 서울교대 교수가 '로봇윤리 원칙에 대한 시론', 김은수·최현철 서울교대 박사가 각각 '10세 아동 수준의 도덕적 인공지능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와 'AMA 로봇 프로그래밍을 위한 논리연구'를 주제로 발표했다.
김신 한국외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토론 시간에는 로봇기본법과 로봇윤리헌장 등에 대해 참석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눴다. “로봇연구윤리 국제기준안 마련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윤리 기준에 맞아야 로봇 특허가 가능하다”, “로봇은 감시·통제·대체가 아니라 공존·보조·협업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 등 활발한 토론이 이뤄졌다.
(CNB=최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