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량 탑재형 멀티채널 GPR.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는 지반탐사 전문업체를 초청해 싱크홀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연산교차로, 수영교차로, 괴정사거리를 포함한 시내 5개 지역 도로(차로연장 43km)를 탐사한 결과 43개의 싱크홀이 확인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지반탐사는 지난 6월 20일부터 약 2개월 동안 최첨단 탐사장비인 '차량탑재형 지하투과레이더(GPR)'를 이용해 진행했다. 해당 구간의 도로하부의 지반을 탐사한 후 싱크홀로 분석되면, 구멍을 뚫어 내시경장비로 싱크홀을 확인했다.
싱크홀 발생 원인은 지하철을 공사할 때 다짐불량으로 인한 장기침하, 노후하수관로 파손에 따른 주변 토사 유실로 추정하고 있다. 함몰 우려가 있는 13개 싱크홀 중 5개는 조치 완료했고 8개는 8월 말까지 조치 완료할 예정이다. 규모가 작고 함몰 가능성이 낮은 30개 싱크홀은 지반침하 연구 등을 위해 일정기간 동안 관찰 후 복구할 예정이다.
시는 원래 내년 1월까지 첨단 탐사장비(7.5억 원)를 제조·구매하고 전문 인력 2명을 채용해 직접 탐사만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계획을 바꿔 도로함몰 가능성이 높은 지하철 및 노후하수관로 구간을 3년내로 탐사(차로연장 1500km) 완료하고자 `18년부터 직접탐사와 민간탐사를 병행해 실시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내년부터 직접 탐사와 민간 탐사를 함께 실시하면서 상생협력을 통해 탐사기술을 향상시키고 위험구간 탐사를 3년 내 완료한다면, 지역 내 도로함몰이 크게 줄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반탐사 수행에 만전을 기하여 도로함몰로부터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한 부산시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