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직불카드를 반입해 백억 원대의 카드깡을 시도한 일당이 검거됐다.
부산경찰청 국제범죄수사대는 말레이시아, 브라질, 태국 등 해외은행에서 발급받은 직불카드를 국내로 반입해 전국 각지에서 162억 원 상당의 카드깡을 시도한 중국인 및 국내 카드단말기 가맹점 모집총책 등 총 20명을 여신전문금융업법위반 혐의로 검거했다고 30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홍콩에 거주하며 해외카드 반입 및 카드명의자를 입국하게 한 해외총책 중국인 A씨(42), 국내총책 중국인 조선족 B씨(47), 카드깡 가맹점주 모집총책 한국인 C씨(53), 금은방과 여행사 카드깡 범행에 사용됐던 말레이시아 M은행 직불카드의 명의자 말레이시아 국적의 D씨(40) 등 4명이 구속됐고, C씨의 군대 후배로 카드깡 가맹점주 모집책 역할을 한 E씨(44), F씨(50)와 카드깡 가맹점주 5명, 중개·알선업자 9명 등 16명이 형사입건 됐다.
경찰 조사 결과 해외총책 중국인 A씨는 지난해 12월께 홍콩에서 한·중 모 교류협회 대외이사직을 맡으며 국내사정에 밝은 중국인 조선족 B씨를 만나 일반적인 카드단말기로 하는 결제방식이 아닌 카드결제 지급대행업체(카드단말기업체)를 통해 진행하는 '오프라인 결제방법'을 가르쳐 주고, 자신이 수천억 원이 입금돼 있는 해외은행 직불카드, 카드명의자 등을 공급하면 B씨가 국내에서 카드깡을 해 현금화한 금액을 나눠 가지기로 공모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에 따르면 B씨는 지인의 소개로 만난 전직 국정원 직원을 사칭하고 다니는 한국인 C씨에게 소개비 10%를 약속, 카드깡 가맹점주 모집을 지시했으며, 이에 C씨는 군대 후배인 E씨와 사회 후배인 F씨를 통해 소개받은 중고수입차 매장, 금은방 등 여러 가맹점주들에게 "2차 세계대전 유족보상금 중 찾아가지 않고 은행에 남아 있는 돈과 세계 각국 은행의 소수점 이하 예금을 해킹한 돈이 수조 원 가량 되는데 한국에서 돈세탁을 해 현금화하려 한다"고 속여 약 30% 수수료를 보장해주는 조건으로 10회에 걸쳐 162억 2천만 원 상당의 카드깡을 시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한 카드깡 범행에 사용된 카드는 말레이시아 H은행, M은행, R은행, 태국 K은행, 영국 L은행의 직불카드, 브라질의 카드 등이고, 알선책 중 인도에서 한국으로 귀화한 G씨(52)가 카드결제 승인이 되지 않아 국내에서 복제를 시도했던 호주 A은행 직불카드의 경우, 국제공조수사 의뢰결과 지난해 12월께 호주에서 도난된 카드로 확인됐다고 경찰은 밝혔다.
경찰은 G씨 외에도 C씨와 F씨는 카드깡을 시도해 승인된 매출전표가 출력이 됐는데도 다음날 해당 카드사에서 취소가 되는 바람에 정상 지급이 되지 않자, 다른 방법을 찾다 압인용 매출전표로 결제청구를 하기 위해 D씨의 말레이시아 M은행 카드를 엠보싱(볼록 문자)카드로 변조한 혐의도 추가 확인됐다고 전했다.
경찰은 해외총책 A씨를 상대로 수사를 펼친 결과, 해외은행 직불카드 정보 등을 공급해주는 유럽의 상선이 있는 것으로 확인돼 동일 수법의 범행을 예방하기 위해 국제공조수사 등을 펼쳐 수사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