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게임사인 크래프톤과 NC AI가 기술력과 역량을 인정받아 정부가 진행하는 AI 사업에 발탁됐다.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독자 인공 지능 기초 모형(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에 신청한 10개의 정예팀 가운데 서면평가 및 발표평가를 거쳐 5개의 정예팀을 선정했다. 선정된 정예팀은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엘지경영개발원 AI연구원 등이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5개 정예팀은 모두 수준높은 인공 지능 모형(AI 모델) 개발 역량을 증명했으며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를 시작해 인공 지능 기초 모형(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 및 확보하고자 하는 자국 인공 지능(소버린 AI)의 본질을 지향했다는 점을 주목했다.
또한 인공 지능 기초 모형(AI 파운데이션 모델) 등을 다른 기업 등이 상업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오픈소스 정책을 제시해 국내 인공 지능 생태계 확장과 다양한 인공 지능 서비스 개발 촉진 그리고 국민의 인공 지능 접근성 증진 등에도 다각도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과기정통부는 조만간 착수식을 거행하고 5개 정예팀에게 '한국형 인공 지능 모형(K-AI 모델), 한국형 인공 지능(K-AI) 기업' 명칭을 부여할 예정이다. 각 정예팀이 개발·확보한 인공 지능 기초 모형(AI 파운데이션 모델)의 인공 지능 생태계 확장, 국민 인공 지능 접근성 증진, 공공·경제·사회 분야의 인공 지능 대전환(AX), 국방·안보적 활용 등을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배경훈 장관은 “선정된 5개 정예팀의 실력은 물론, 참여한 모든 정예팀의 열정에 박수와 찬사를 보낸다”며, “본 사업의 담대한 도전은 이제 시작이자 ‘모두의 인공 지능’ 출발점이 될 것이며, 대한민국 인공 지능 기업·기관들의 도약, 자국 인공 지능(소버린 AI) 생태계 확장을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전했다.
게임사들 중 출사표를 던진 크래프톤은 SK텔레콤 정예팀에 속해 참여한다.
SK텔레콤 컨소시엄은 반도체, 모델, 데이터, 서비스로 이어지는 독자 기술 기반의 풀스택 AI를 구현하고, 개발하는 모델을 국내 AI 생태계의 다양한 기업들에 오픈소스로 개방하는 것을 목표로 출범했다.
이 컨소시엄은 크래프톤과 함께 모빌리티 AI 부분의 강자 포티투닷(42dot), 국내 최고 수준의 추론형 AI반도체(NPU) 제작사인 리벨리온, 전문 지식·정보 검색에 특화된 AI 에이전트인 라이너, AI 모델의 데이터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을 갖춘 셀렉트스타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선도기업들이 속해있다.
SK텔레콤 정예팀은 차세대 형태변환 인공 지능 모형(포스트-트랜스포머 AI 모델)으로 한국형 인공 지능(K-AI) 서비스를 구현해 대한민국 인공 지능 전환(AX)을 촉진하고, 국민 인공 지능 접근성을 높이며, 세계적인 인공 지능 지도력(글로벌 AI 리더십)을 확보한다는 과제 목표를 제시했다.
뿐만 아니라 ‘국민 인공 지능 접근성 강화’, ‘인공 지능 대전환을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를 두 축으로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기업과 기업간 거래 인공 지능 사용 사례(B2B AI use case)를 발굴·확산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연합체 참여사·관계사들의 역량을 결집해 인공 지능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기업과 기업간 거래(B2B) 서비스들의 대중 및 산업 확산 활동도 공동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크래프톤은 컨소시엄에서 각각 온디바이스 모델 개발과 멀티모달 설계 핵심 역할을 맡아 독자 AI 모델의 확장성과 실용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강욱 크래프톤 딥러닝 본부장은 "크래프톤은 독자적인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게임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장하며 컨소시엄과 함께 한국형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밖에 도전장을 내민 NC AI는 인공지능을 전담해 연구해온 기업이다. 2011년 엔씨소프트 내부에서 독립된 형태의 AI 조직을 세우며 장기적 R&D 비전을 꿰뚫고 일관된 기술 목표를 설정해 성장했으며 올해 초 독립법인으로 분사했다.
NC AI 컨소시엄은 NC AI를 중심으로 ETRI, KAIST,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에이아이웍스, 포스코DX, 롯데이노베이트, HL로보틱스, 인터엑스, 미디어젠, 문화방송, NHN등 14개의 산학연 기업·기관과 더불어 롯데·포스코의 주요 그룹사 등 40곳의 수요기업을 포함 총 54개 기관이 프로젝트 전 주기에 걸쳐 하나의 목표로 뭉쳤다.
컨소시엄이 설정한 과제는 '산업 AI 전환을 위한 확장 가능한 멀티모달 생성용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이다. 글로벌 최고 성능 200B급 독자 대규모 언어 파운데이션 모델 패키지 개발, 독자 LLM 기반 통합 멀티모달 인지 생성 파운데이션 모델 패키지 개발,독자 AI의 산업 확산을 지원하는 '도메인옵스' 플랫폼 구축 및 서비스,제조·유통·로봇·콘텐츠·공공 산업을 위한 산업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등이 목표다.
NC AI는 이번 선정을 기점으로 차세대 VARCO 시리즈 고도화, 산업특화 LLM 개발, 멀티모달 AI 기술 고도화, 인재양성 기관과의 협력 그리고 분야별 현장 맞춤형 AI 실증 확대 등을 단계별로 본격화 할 계획이다.
이연수 NC AI 대표는 “이번 성과는 결코 NC AI만의 것이 아니라 함께해준 연구기관과 기업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며, 기술은 결국 사람이 지켜야 하고 진정성 있게 쌓는 것만이 국가와 산업을 살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NC AI는 앞으로도 기술 독립과 산업 실증, 글로벌 공헌을 동시에 실현하는 대한민국 AI 전문 기업으로서의 소명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