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발연, "동남권 재난 피해 줄이려면 광역방재거점 조성해야"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8.01.11 15:10:19

재해로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속한 복구를 위해 재난 광역방재거점을 조성해 도시관리의 회복탄력성을 높여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부산발전연구원은 10일 '부산지역 회복탄력성 연구: 도시관리분야' 보고서를 내고 재난 광역방재거점 조성을 통한 도시 회복탄력성 적용방안을 제시했다. 회복탄력성은 이전 상태로 되돌아 갈수 있는 시스템의 능력을 의미한다.

보고서는 “재난은 부산을 포함한 동남권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한 거점이 있으면 재난극복이 보다 신속히 진행될 수 있다”며 “부산을 중심으로 동남권에 발생하는 대규모 재난에 대한 종합적 관리 및 대응을 위한 재난 광역방재거점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재난이나 재해가 광역화하고 대형화함에 따라 이에 대처하기 위해 재난 광역방재거점을 조성해 대응하고 방재 네트워크를 구축해 민관이 협력적인 관계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재난 광역방재거점은 부산과 동남권 각지의 방재거점과 연계해 응급 복구 활동을 하고 지역 간 협력이 가능한 역할을 하는 시설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황영우 선임연구위원은 “재난 광역방재거점은 다양한 재난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관리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면서 재난 발생 시 필요한 최소한의 생활용품과 식음료 등을 비축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 국립동경임해광역방재본부는 공원으로 조성돼 평소에는 시민 휴식공간으로 사용되고 재난 발생 시에는 종합적인 재난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재난 광역방재거점 입지 후보지로는 '부산 119 안전체험관(동래구)', '소방학교(북구)', '119소방안전본부(연제구)'가 제시됐다. 재해 발생 시 타 지역 등에서 제공하는 구호물자 보관과 배포 기능을 해야 하는 부산항은 다양한 접근성을 갖춘 자성대부두가 적지로 꼽혔다.

황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부산에는 119 부산소방안전본부가 소방 및 재난 상황을 통합적으로 관리‧운영하고 있지만 광역 차원의 재난이 발생할 경우 컨트롤 타워 기능을 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복수의 광역방재거점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