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대병원 차원재 교수 연구논문, 美 후두학회 학회지 게재

성대마비 예방 위해 갑상선 수술 전 모든 분지 확인 필요성 밝혀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8.01.19 19:35:59

부산대학교병원은 이비인후과 차원재 교수 연구팀(조일녕·조민규 전공의)이 발표한 <갑상선 수술 후 성대마비의 위험요인인 '후두외분지 반회후두신경'> 연구결과에 대한 SCI 논문이 미국후두학회 공식학회지인 'Laryngoscope' 최신호에 게재됐다고 19일 밝혔다.


차 교수는 `14년 1월부터 `16년 2월까지 2년 동안 갑상선 수술을 받은 366명을 대상으로 성대마비 위험요인에 대한 전향적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결과 103례(15.4%)에서 총 667 례의 반회후두신경 등 후두외분지 반회후두신경를 관찰했고, 앞쪽 신경분지에서는 모두 운동신경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신경분지들 중 주로 앞쪽 신경분지에만 성대운동신경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알려진 바와는 달리, 이 연구에서는 뒤쪽 신경분지의 약 30%에서 운동신경이 존재함을 새롭게 확인했다.


일반적으로 갑상선 수술 중 반회후두신경 손상으로 성대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일시적인 성대마비는 0.25%~10%, 영구적인 성대마비는 0.25%~2.6%로 보고되고 있다. 연간 갑상선 수술이 3 만례 정도임을 고려하면 적지 않은 수의 성대마비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측성 성대마비가 발생하는 경우 목소리의 변화, 흡인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시적 성대마비는 보통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상이 완화되지만, 영구적 성대마비는 증상이 지속될 수 있다.


차 교수는 “갑상선 수술 시 미세한 후두외분지의 손상도 성대마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갑상선 수술 중에 가능한 반회후두신경의 모든 분지들을 확인하고 보존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성대마비의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