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오는 17일 오후 2시 시청 1층 대강당에서 700명의 시민과 공공기관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반부패 청렴정책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부산시가 주최하고 102개 시민사회단체와 부산지역 내 51개 공공기관으로 구성된 부산투명사회실천 민·관네트워크에서 주관, 국민권익위원회와 청렴사회민관협의회에서 후원한다. 이날 '민선7기 출범, 청렴부산 구현을 위한 사회각계의 역할 및 협력방안'을 주제로 토론할 예정이다.
본격적인 토론에 앞서 ▲오거돈 부산시장은 환영사를 통해 "지난해 각종 대형 비리사건으로 추락했던 부산시의 청렴도를 민선7기 출범을 통하여 상위권으로 도약시키는 계기를 만들자"고 제안하고 ▲박은정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은 정부의 청렴의지 및 정책추진 현황을 설명할 예정이다.
토론회는 김해몽 부산시민재단 상임이사가 진행하며, ▲양세영 흥사단 투명사회운동본부 상임이사의 기조발제와 ▲강선아 국민권익위원회 민간협력담당관, 이재형 부산시 청렴감사담당관, 이일권 부산시 교육청 감사관, 오문범 부산YMCA 사무총장, 성인심 부산YWCA 사무총장, 이도경 한국투명성기구 부산지역본부 사무처장 등 6명의 패널이 주제를 발표한 후 기존 청렴정책에 대한 냉철한 진단과 지역사회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민관협력 방안에 대해 100여 분 간의 열띤 토론으로 펼칠 예정이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청렴사회 구현은 공공부문의 힘만으로는 불가능하고 정부, 지역사회, 시민사회, 기업, 언론 등 모든 이해관계자가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청렴정책을 추진해야 가능하며 민간영역의 관심과 참여 없이는 반부패 정책은 성과창출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다.
시는 적폐청산과 반부패개혁은 처벌이 목적이 아니라 제도와 관행의 혁신이 핵심이며, 시민이 구체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과 제도, 인식과 행동의 새로운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부산시는 사회각계가 참여하여 반부패 정책 추진 전반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협의기구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상향식 반부패 정책 추진 시스템을 제도화 할 예정이다.
특히, 시는 청렴문화 확산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시민사회 간 네트워크가 긴밀히 형성된 지역으로서 이러한 네트워크에 대해 공공기관을 비롯한 사회 각계가 지원을 강화하고 더욱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토론회는 사회 각계의 목소리를 듣고 부패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시각으로 함께 고민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며,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은 적극 검토하여 반부패 정책에 반영해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