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지난해 8·2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위축된 부동산 경기 활성화와 주거안정을 위해 국토교통부에 조정대상지역 7개 구·군에 대한 해제를 강력하게 건의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건의는 부산시에서 지방정부차원의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지난달 9일 개최한 민·학·관 관계자가 참석하는 '긴급 주택시장 안정대책 회의' 때 실시하기로 한 주민동향과 주택시장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사항이다.
부산지역은 `16년 11월, `17년 6월 두 차례에 걸쳐 7개 구·군(부산진구, 동래구, 남구, 해운대구, 연제구, 수영구, 기장군)이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됐으며, 지난해 8·2 부동산 대책 이후 아파트 거래량이 49.3% 급감해 주택 거래 절벽 상태이며, 주택가격(중위)은 올 1월 대비 2.6% 하락했다.
청약경쟁률 또한 `17년도와 비교해 급격히 하락하고 있으며,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남구‧연제구‧수영구는 `18년도에 신규 분양아파트가 없으며, 부산진구‧동래구‧해운대구‧기장군은 `18년 미분양 세대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며, 기장군 일광신도시 등의 미분양 물량은 급증해 `18년 1월 대비 42.6%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 관계자는 “부동산 투기를 막기 위한 정부정책은 지지하는 입장이지만 서울지역과 달리 부산의 부동산 경기는 침체가 가속화 되고 있어, 위축된 부동산경기 활성화 및 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서는 지역의 여건을 반영해 조정대상지역 해제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