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정부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부산 7곳 선정

서구 동대신2동 '닥밭골, 새바람' 등에 국비 652억원 확보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8.09.01 08:01:36

▲2018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부산시 선정현황. (사진=부산시)


국토부는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어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 선정안'을 의결하고, 특위 개최결과 부산지역 7곳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국토부에서 최종 선정한 이번 사업에 부산은 총사업비 2307억원(국비 652, 지방비 751, 기타 904)을 내년부터 `22년까지 투입해 쇠퇴한 도시를 살리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도시혁신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사업선정은 부산시가 선정하는 광역선정 5곳과 국토부에서 선정하는 중앙선정에 2곳이 최종 선정됐다.


광역선정은 △우리동네살리기형은 서구 동대신2동의 '닥밭골, 새바람' △주거지지원형은 연제구 거제4동의 '연(蓮)으로 다시 피어나는 거제4동 해맞이마을', 중구 영주동의 '공유형 新 주거문화 클라우드(CLOUD) 영주' △일반근린형은 해운대구 반송2동의 '세대공감 골목문화마을, 반송 Blank 플랫폼', 사하구 신평1동의 '시간이 멈춘 듯한 정책이주지 동매마을의 공감과 바람! Reborn' 등 5곳이다.


중앙선정으로 △중심시가지형은 동래구 온천1동의 '온천장, 다시 한번 도심이 되다' △주거지지원형(공공기관 제안)은 금정구 금사동의 '청춘과 정든마을, 부산 금사!' 등 2곳이 선정됐다.


이번 선정 사업에는 지역의 역사자원과 문화자산을 활용, 특화거리와 혁신복합공간을 조성해 지역상권 활성화를 추진(동래구)하며, 경사형엘리베이터를 설치해 편안한 보행로 확보(서구), 공공임대상가를 조성(중구, 사하구)해 둥지내몰림에 대응하도록 하고, 20세대 미안의 인접한 노후 단독다가구 주택의 주민합의체를 구성해 소규모 주택정비를 통한 지역재생(연제구) 사업과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스마트 시티형 도시재생사업 5곳이 반영돼 있다.


또한 노후 주거지를 정비해 공공임대주택이나 공공주택을 공급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계획(중구, 연제구, 해운대구)이나, 공공청사를 복합개발해 공공임대주택 또는 주민커뮤니티 시설을 확충하는 계획(사하구, 동래구, 금정구), 이 외에도 주민 주도 거버넌스를 구축해 주민참여형 사업을 추진하는 계획도 전반적으로 포함됐다.


이번에 선정된 부산지역 7곳에 대하여는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오는 9월말 시민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와 시의회 의견청취 과정 등을 거치고 △11월경에 국토부에 '도시재생 선도지역 지정'을 신청하게 된다. △금년말까지 국토부가 선도지역으로 지정하고 △내년 상반기까지는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승인을 마치는 등 관련 행정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선정된 7곳에 대해서는 부산시와 (재)부산시도시재생지원센터가 사업별 특성에 맞는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맞춤형 재생'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노후 주거지를 쾌적한 주거환경으로 정비하고, 구도심을 지역의 혁신 거점으로 조성해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토록 하고, 지역 내 자발적인 상생협력을 유도해 도시재생의 이익을 지역사회가 함께 공유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