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경상대학교는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정덕화(69) 석좌교수가 국무총리실 식품안전정책위원으로 4번째 연임됐다고 지난 7일 밝혔다.
임기 2년의 정책위원을 3번 맡은 뒤 또다시 연임됨에 따라 8년간(3~6기) 식품안전정책을 지혜롭게 심의,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정덕화 석좌교수는 지난달 27일 임명장을 받고 정책위원회를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운영협의회장에 선임됐다.
지난 2009년 설립된 식품안전정책위원회는 여러 부처에 흩어져 있던 식품안전 업무를 조정하기 위해 총리를 포함한 10명의 국무위원들과 식품안전 관련 민간 전문가 10명으로 구성된 국가 식품안전정책 심의기구이다.
설립 당시 전문위원으로 참여한 정덕화 교수는 지난 2013년부터 현재까지 민간위원 대표를 맡아왔고 앞으로 2년간 더 국가 식품안전정책을 총괄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지난번 살충제 계란사태 발생 시 정부에서 식품안전종합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의 특별전담조직(TF팀)과 함께 식품안전 정책위원회가 그 업무를 맡게 되면서 정덕화 교수는 그 중심에서 범정부 식품안전관리를 포함한 관리체계 정비 등 많은 역할을 수행한 바 있다.
최근에는 농업인들의 가장 큰 이슈가 된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LS)' 문제 해결을 위해 부처 간 업무를 조정하는 등 많은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다.
정 교수는 한국 Mycotoxin(곰팡이독소) 연구회 회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주로 식품위생안전성 관련 분야의 학술활동에 전념해 왔으며 현재도 농림축산식품부의 농림식품과학기술위원, 산림청의 산림과학기술위원으로 정부의 연구개발(R&D) 사업 심의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보건복지부 식품위생심의위원회 위원장, 식품의약품안전처 자체평가위원회 위원장 등의 역할을 수행한 바 있고 퇴임 후 현재까지 농림축산식품부 농수산물품질관리심의 위원장, (사)전국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연합회 회장, 국무총리실 식품안전정책위원회 위원, 운영협의회장 등 농식품 안전 관련 국가 부처의 여러 위원회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아울러, 지난 2017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미국 FDA와 같이 정책자문관제도를 도입함에 따라 정덕화 교수는 초대 자문관으로 위촉돼 국가의 식품 안전과 관련한 부처 간 업무를 조율하고 특히 현장과 공무원 간에 거리가 있는 제도를 찾아 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