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원섭기자 |
2019.05.02 10:09:55
문재인 대통령은 2일 김영삼 정부 시절 이홍구 전 국무총리를 비롯한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김대중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장을 지낸 이종찬 전 의원과 환경부 장관으로 활동한 김명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노무현 정부 시절 대통령 비서실장과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을 지낸 김우식 전 부총리 등 사회 원로 12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간담회를 한다.
또한 정해구 정책기획위원장과 사회학자인 송호근 포항공대 석좌교수, 문화인류학자인 조한혜정 연세대 명예교수, 더불어민주당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장을 지낸 조은 동국대 사회학과 교수, 민주당 윤리심판원장을 지낸 안병욱 한국학중앙연구원장 등 학계 인사들을 비롯해 김영란 전 대법관과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김지형 전 대법관 등 법조계 인사들도 초청됐다.
문 대통령은 오찬에서 원로들과 개혁과제를 비롯해 노동 문제, 사회안전망 강화 등 다양한 주제를 두고 대화할 계획이며, 아울러 정부가 국가 비전으로 제시한 ‘혁신적 포용국가’를 실현하기 위한 의견을 원로들에게 구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중도·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윤 전 장관 등이 참석 대상에 포함되면서, 오찬에서 문재인 정부를 향한 ‘쓴소리’가 나올 것이라는 관측이 대두되기도 했다.
한편 청와대는 전날 문무일 검찰총장이 검경수사권 조정법안 등의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을 비판한 것과 관련해 물밑에서는 문 총장의 ‘반기’에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가 읽혔고, 일각에서는 문 총장의 발언이 부적절하다는 불만도 흘러나왔지만 일체 언급을 삼가며 상황을 주시하는 등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문 총장이 1일 대검찰청 대변인실에 전달한 입장 자료를 통해 “현재 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된 법률안들은 견제와 균형이라는 민주주의 원리에 반한다”고 비판하자 청와대는 ‘국회에서 논의 중인 사안에 대해 청와대가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판단에 따라 공식적인 반응을 삼가고 있다.
이에 청와대 한 핵심관계자는 CNB 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 패스트트랙 관련 법안에 대해 여야가 국회에서 논의하면서 조율 중에 있기 때문에 청와대는 국회의 입장을 존중한다”면서 “문 총장의 발언도 국회의 패스트트랙 지정 절차에 대한 얘기인 만큼, 청와대가 대응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을 아꼈다.
그러나 청와대 다른 한 관계자는 “문 총장이 검경수사권 조정법안 패스트트랙 지정에 반대 의견을 가질 수 있다고 보기는 했지만, 이처럼 갑작스레 입장을 낼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면서 “입법기관인 국회에서 논의한 사항을 행정기관의 장이 비판하는 것은 삼권 분립 정신에 어긋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문 총장의 발언을 비판하는 등 내부적으로는 당황스러운 분위기가 감지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