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원섭기자 |
2019.05.03 14:15:48
청와대는 3일 문재인 대통령이 전날 사회원로 초청 오찬에서 국정·사법농단 사태를 언급하며 “빨리 진상을 규명하고 청산이 이뤄진 다음, 그 성찰 위에서 새로운 나라를 만들어나가자는 데 대해서 공감이 있다면 그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얼마든지 협치하고 타협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문 대통령의 발언을) ‘적폐청산이 안되면 타협이 없다’라고 해석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일축했다.
청와대 한 핵심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많은 언론이 적폐청산이 먼저 이뤄지면 그 다음에 타협할 수 있다는 ‘선(先)청산·후(後)타협’ 기조로 보도했다. 이는 마치 타협하지 않겠다는 뜻으로도 읽힌다”며 “그러나 문 대통령의 메시지는 청산이 이뤄진 뒤 그 성찰 위에서 협치와 타협을 하겠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관계자는 “문 대통령 언급에도 있지만, 국정·사법농단이 사실이면 반헌법적이자 헌법 파괴적인 것이라 타협이 쉽지 않다”면서도 “동시에 문 대통령의 발언에는 새로운 나라를 만들자는 성찰이나 공감이 있으면 얼마든 협치와 타협 가능하다는 뜻 또한 담겨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기자들이 “문 대통령의 발언에도 ‘청산이 이뤄진 다음’ 이라는 언급이 들어가 있지 않느냐”고 질문하자, “성찰 위에서 새로운 나라를 만들자는 데 대한 공감을 말씀드리고자 한 것”이라고 거듭 밝히면서 “너무 이분법적으로 ‘적폐청산이 이뤄져야 타협이 있다’고 보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이 관계자는 “모든 사안을 무 자르듯 이분법적으로 볼 수는 없다. 청산을 아무것도 안 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청산이 이뤄진 다음 성찰과 공감이 있다면 협치와 타협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본의와 다르게 해석되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왜 이 시점에 문 대통령이 적폐청산이라는 단어를 꺼냈느냐는 질문도 많다”며 “현재 진행되는 수사에 대해 ‘그만하자’, ‘피로감이 있다’는 여론도 있고, 반대편에서는 ‘미흡하다’는 여론도 있다. 이에 대한 대통령의 시각을 말씀 드린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문 대통령의 ‘국정농단·사법농단 청산 후 협치’ 발언에 대해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는 이날 부산에서 열린 ‘문재인 STOP’ 집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적폐 수사를 지시하며 협치를 하지 않겠다는 말로 읽힌다”며 “나라가 어려워 모든 협치를 해도 모자란데 대통령이 협치하지 않겠다는 말씀을 하셔도 되나. 아주 유감스럽다”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