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소방본부 119구조·구급대가 지난해 6만3천542회 출동해 3만3천087명의 인명을 구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소방본부(본부장 김종근)가 발표한 ‘2019년 119구조․구급 활동 실적’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119구조대는 1만9천809회의 출동으로 1천985명을 구조했다고 28일 밝혔다.
119구급대는 4만3천733회 출동해 3만1천102명을 이송했다. 12분마다 1회씩 출동해 하루 평균 91명을 구조했다. 구조 출동 중 인명구조는 지난 2018년 5천987회에서 5.4% 증가한 6천315회이고 동물 포획, 잠금장치 개방 등 생활 안전 구조는 전년 8천299회에서 24.1% 증가한 1만303회를 기록했다.
인명구조 출동은 화재출동 2천22회, 교통사고 1천520회, 자살 추정 482회, 승강기 452회, 산악 사고 241회, 수난 사고 177회, 추락 사고 172회 순이다. 생활 안전 구조 출동은 벌집 제거 4천342회, 안전조치 3천202건, 동물 포획 1천460회, 잠금장치 개방 1천2회 순으로 나타났다.
항공구조구급대 출동횟수는 총 274회로 이중 영남알프스 관련 산악출동은 22회였다. 환자 유형은 심정지환자 3명, 골절 및 발목부상 환자 15명으로 총 18명의 인명을 구조했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7월부터 10월 초까지 빈번하게 발생한 총 5개의 태풍에 대응해 302회 출동에 소방인력 1천446명 투입, 374점의 전문장비를 동원해 모두 11명을 구조했다. 구급대 이송 환자는 총 3만1천102명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질병으로 인한 환자가 1만8천196명으로 전체의 58.5%를 차지했다. 사고 부상 6천883명, 교통사고 4천144명이다.
심정지 환자 발생은 총 1천155회였으며 발생 장소는 (가정)집이 779회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도로 및 교통지역 87회, 바다·산·강 등이 57회, 의료 관련 시설 35회 순이다. 이중 이송된 환자는 521명이며 42명이 소생했다.
5년간 구급 출동 추이를 보면 교통사고와 사고 부상은 점차적으로 감소 추세인 반면 질병으로 인한 환자는 88%(8천544회) 증가했다. 질병 유형으로는 급성으로 발병하는 심뇌혈관 질환이 많았으며 암, 간 및 폐질환, 고혈압, 당뇨 등이다.
이송된 환자 중 40~60대가 전체의 50.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70대 이상은 21.1%를 차지했다. 이는 고령화사회 진입으로 인한 중․장년층 및 노인환자의 구급 수요가 많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울산소방본부 관계자는 “이번 결과에서 가정에서의 심정지 환자 발생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돼 심정지 및 뇌출혈 등의 응급 상황 발생 시 시민들의 발 빠른 신고와 초기대응이 환자의 소생에 큰 역할을 한다.”며 “울산소방본부도 분야별로 전문교육을 강화해 최상의 119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