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04.29 14:05:54
부산시가 대기환경의 개선 목표를 담은 ‘동남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 5개년’이 지난 3일 동남권 대기관리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함에 따라 세부 시행계획을 올해 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동남권 대기관리권역은 부산시, 울산시, 대구시 전역과 경남도 및 경북도 일부 시·군이 지정돼 오는 2024년까지 초미세먼지(PM 2.5)를 연평균 17㎍/㎥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는 목표농도 달성을 위해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 ▲노후경유차 및 건설기계 배출가스 저감 ▲가정용 친환경 보일러 설치 ▲공항, 항만 오염 저감 등을 중점 추진해 오는 2024년까지 오염물질 배출량을 약 30%까지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5년 동안 연도별, 오염물질별로 할당량을 준수하도록 하는 사업장 총량관리제를 철저히 지킨다는 계획이다. 대기 1~3종을 대상으로 최근 2년 중 연간 배출량이 1년이라도 질소산화물 4톤, 황산화물 4톤, 먼지 0.2톤을 초과한 지역 62여개 사업장은 오는 7월 2일까지 할당신고를 해야 한다.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으로는 중소기업에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방지시설 설치비를 90% 지원한다. 또 최근 신고된 자기측정 조작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에 굴뚝자동측정기(TMS)를 1년 이내에 부착해 오염 물질량을 상시 측정토록 하며 설치비와 유지·관리비를 60% 지원한다.
이외에도 오는 2024년까지 노후 경유차 80% 이상 폐기를 위해 조기 폐차를 추진하고 매연저감장치 부착, 수소차 지원 등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도 나선다. 또 대기환경 규제지역에서 제외됐던 기장군 등록지 자동차는 정기검사에서 정밀검사로 강화하며 특히 기존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을 설치한 업체는 오는 7월 2일까지 신고하도록 유도한다.
시 관계자는 “대기관리권역이 확대함에 따라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대기오염원 관리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대기질 개선은 물론 경제도 상생할 수 있는 부산만의 특성을 반영한 계획을 마련하겠다”며 “시민과 각 사업장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