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 “부산의료원 지원책 마련 시급” 촉구

올 초 터진 코로나19 감염병 대응으로 부산의료원 수익구조 악화 심각해져… 시에 대책 마련 촉구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05.06 15:30:00

한 확진자가 부산의료원에 이송돼 입원 절차를 밟고 있는 모습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의회는 복지환경위원회가 오는 7일 열리는 ‘복지건강국 소관 안건 심사 회의’에서 부산의료원의 의료진 인건비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시의 대책 마련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복지환경위 소속 박민성 의원(동래구1, 더불어민주당)은 “시의 코로나19 감염병 전담병원인 부산의료원은 코로나19 감염 환자가 급증하기 시작한 지난 2월 21일부터 코로나19 외 일반 의료서비스 업무 대부분을 중단했다”며 “때문에 매달 적자 폭이 크게 늘고 있는 상황으로 3월은 1월보다 수익이 51억원이 감소했고 지난달은 50억 내외의 손실이 예상되고 있다”며 수익 상황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때문에 시가 제대로 대처하지 않을 경우 매우 위태로운 재정 상황에 놓인 부산의료원이 문을 닫아야 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박민성 의원은 덧붙여 문제제기했다.

특히 시에 따르면 이러한 상황은 부산뿐 아니라 전국 공통으로 발생한 사항이다. 다행히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서 2월 말~3월 말까지 적자분에 대해 지난달 9일 손실보상금으로 35억원을 부산의료원에 지원해 당장 발등의 불은 끌 수 있었다.

그러나 중수본은 4~5월 손실보상금 지원에 대해 구체적인 금액에 대한 답변이 없고 내달 2차로 지급하겠다는 입장만 밝히고 있어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김재영 복지환경위원장(사하구3, 더불어민주당)은 “이번에 제출된 부산시 제2회 추경예산안에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부산의료원의 적자손실분 보상액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지금까지도 시가 의료원의 수익구조 악화에 대한 특별한 대책을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5년 전 메르스 사태 당시 부산의료원이 정상 운영될 때까지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 점과 올가을 코로나19 2차 유행을 예견하는 전문가 의견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시에서는 지금이라도 장기적 대안 마련에 착수해 의료원의 정상운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며 공공의료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는 부산의료원 재정구조 악화의 자세한 현황을 파악하고 현장 의료진과 직원의 애로사항을 듣기 위해 오는 11일 부산의료원 현장을 방문할 예정이라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