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2일 오전 본관 상황실에서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실증사업 보고회’를 갖고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날 보고회는 시와 사업시행사인 KT 컨소시엄, 사업관리를 맡은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와 국토연구원, 감리단 등이 참석한 가운데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추진 배경과 사업 개요, 추진 방향 등으로 진행됐다.
시는 지난해 국토교통부가 교통안전 강화와 자율협력주행 지원을 위해 공모한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실증사업’에 응모해 최종 선정된 바 있다.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는 주행 중인 차량 주변의 각종 교통 상황 정보를 도로에 설치된 센서와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시스템이다.
대전-세종 간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시범사업’이 국토부에서 추진됐고, 지자체 실증사업은 서울과 제주에 이어 울산과 광주가 본격 추진에 나섰다.
울산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실증사업은 작년 12월부터 내년 12월까지 총 280억원(국비 150억원, 지방비 130억원)으로 추진되고 있다.
산업로, 오토밸리로, 삼산로, 문수로 등 도심 주요도로 142.6km 구간에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인프라 구축과 교통안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사업은 송철호 울산시장 공약인 ‘자율주행 스마트 도로 구축’과 연계해 울산시 전역에 자율주행 기반 지능형 도로를 구축하는 사업이기도 하다.
시는 실증사업 대상을 울산시 특성에 맞게 사고 비율이 높은 화물차 1300대 등을 중심으로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단말기를 장착해 운전자에게 도로 상황과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위험 정보를 제공한다.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와 기존의 지능형 교통체계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정보 공유이다.
지능형 교통체계에서는 각 정보를 수집해 가공하고 전달하는 방식이지만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는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 차량과 시설물, 차량과 보행자 간 실시간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2012년부터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도입 위해 기본 계획을 수립했고, 2014년 대전-세종 간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2016년 7월부터 시범 운영되고 있다.
송철호 시장은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 실증사업이 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자율주행, 커넥티드카(인터넷 연결 자동차)로 변화하는 교통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특화된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