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원섭기자 |
2020.07.16 10:01:39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의혹이 정치권 이슈로 부상하면서 여야는 물론 청와대까지 입장을 표명하는 등 논란이 커지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16일 오전 CNB뉴스와의 통화에서 박 전 시장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대통령의 언급이 없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통령의 (박 전 시장 성추행 의혹 관련) 발언들을 일일이 전부 공개할 수 없는 것 아닌가”라며 말을 아꼈다.
다만 청와대는 “피해자에게 2차 가해가 있어서는 절대로 안 된다”며 “서울시가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진상을 규명하겠다고 한 만큼 차분히 조사 결과를 지켜볼 때”라고 밝혔다.
앞서 서울시는 전날 오전 여성단체, 인권전문가, 법률전문가 등 외부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철저한 진상규명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청와대는 이를 계기로 당분간은 박 전 시장과 관련한 이슈와는 거리를 두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미래통합당은 박 전 시장의 극단적 선택에 앞서 경찰이 고소 사실을 청와대에 보고했다고 밝힌 부분을 문제삼고 있다.
문 대통령에게까지 보고가 전달됐는지, 이후 어떤 지시를 했는지 등 박 전 시장의 고소 사실 유출 의혹에 대해 문 대통령의 해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통합당은 고소 사실이 청와대를 거쳐 박 시장에게 전달된 것이 사실이라면 성추문 의혹 자체에 버금가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권력형 증거은폐 시도로 볼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 김기현 통합당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 글을 통해 “청와대 국정상황실이 보고받았다면 대통령이 모를 리 없고, 대통령께 보고되지 않았다면 직무유기”라며 청와대를 압박했다.
통합당은 청와대가 수사기밀을 유출하면서까지 정권 차원에서 박 전 시장의 성추문 혐의를 덮으려한 것 아니냐고 의심하고 있다.
때문에 통합당은 사건 수사를 경찰과 검찰 등 통상적 수사라인에 맡길 수 없다며 특임검사·특별수사본부가 사건을 담당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국회 행안위 소속 통합당 의원들은 15일 서울지방경찰청을 방문해 박 전 시장의 성추행 의혹 수사와 피소사실 유출 의혹에 대한 진상조사를 촉구했다.
(CNB=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