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SPACE(공간)」 2020년 11월호 발간 – 모여서, 건축을, 말하다: 이 시대의 건축 플랫폼

  •  

cnbnews 손정호기자 |  2020.11.02 14:46:29

「SPACE(공간)」 2020년 11월호

「SPACE(공간)」 2020년 11월호(통권 636호)가 발간됐다. 매해 11월호는 1966년에 창간된 공간지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특집으로 기획된다. 이번 특집 ‘모여서, 건축을, 말하다: 이 시대의 건축 플랫폼’은 한국 건축계에서 활발하게 만남을 가지고 건축에 대한 논의를 이어오고 있는 플랫폼들에 주목하고 있다. 1990년대만 하더라도 건축계의 여러 모임은 세미나, 기행, 전시, 출판 등을 통해 담론의 구심점이 되었으나, 현재는 그런 목적으로 출발한 플랫폼이 지닌 힘이 이전처럼 강력하지는 않다. 이렇게 목소리가 파편화된 상황에서 네트워크를 모색하고 있는 13개의 건축 플랫폼 기획자로부터 관련된 이야기를 들었다.
 

젊은건축가포럼코리아 (젊은건축가포럼코리아 제공)
우아우스 (우아우스 제공)
수요답사 (구가도시건축 제공)

이번 특집은 편집부가 주목하는 13개의 플랫폼의 기획자와 대화를 나누고, 그 기획자가 또 다른 플랫폼을 추천·소개하는 구성으로 꾸려졌다. 국내 건축 플랫폼들은 “한목소리를 내는 조직”이 아니더라도 친목을 위해 모이기도 하고(라라), “건축가로서 자존감을 지키기 위해” 함께 모여 책을 읽고 토론하기도 한다(건축기지). ‘재미’와 ‘유연함’을 특징으로 지속가능성을 꾀하는 플랫폼(젊은건축가포럼코리아)도 있다. 거창하고 심각한 지향을 갖지 않는 것이 요즘 플랫폼의 한 단면이기도 하지만 세운캠퍼스처럼 도시재생의 현장에서 실천 공동체를 지향하는 플랫폼도 눈여겨볼 만하다. 사회와 만나는 방식도 다양하다. 건축을 통해 교육을 하기도 하고(건축학교), 시민들의 도시기록에 주목하기도 하며(별의별 도시기록가), 건축물 개방축제를 통해 좋은 건축 경험을 제공하는 플랫폼(오픈하우스서울)도 있다. 집톡은 “높은 품질의 건축이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춰 건축을 현실적으로 설명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릴레이 세미나를 열고 예비 건축주를 만나기도 한다. 한편 전문성과 대중성을 구분 짓지 않는다는 정림건축문화재단포럼은 “대중화할 담론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하며 내실을 다지고 있다.
 

나투라 푸투라 아르키텍투라 - '거주하는 집' ⓒNatura Futura Arquitectura
코오롱스포츠 한남 ⓒ김동규
더 도쿄 토일릿 ⓒSatoshi Nagare

리포트에서는 ‘코오롱스포츠 한남’을 설계한 서동한(스튜디오 프레그먼트 대표)을 인터뷰하여 아웃도어 스포츠의 플래그십 스토어를 어떠한 콘셉트로 디자인했는지 듣는다. 그리고 도쿄 올림픽을 위해 도시 곳곳에 공중화장실을 새로 짓는 프로젝트를 살피고, 건축사무소 나투라 푸투라 아르키텍투라의 작업들을 통해 에콰도르의 젊은 건축가가 지키고자 했던 공공성에 대해 탐구한다.
 

노스 퍼스 하우스 ⓒBen Hosking

프로젝트에서는 ‘노스 퍼스 하우스’를 설계한 닉 브런슨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여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해 주택을 짓는 과정을 듣는다.

구독문의 editorial@spacem.org

 

 

2020년 11월호 「SPACE(공간)」 (636호)

[리포트]
도시에서 즐기는 오솔길: 코오롱스포츠 한남_ 서동한 × 김예람
모두를 위한 공중화장실: 더 도쿄 토일릿_ 우에키 미호코 × 최은화
에콰도르 도시주택의 생존 방식을 탐구하다: 나투라 푸투라 아르키텍투라_ 방유경

[프로젝트]
노스 퍼스 하우스 - 닉 브런슨_ 닉 브런슨 × 박세미

[피처]
모여서, 건축을, 말하다: 이 시대의 건축 플랫폼
ESSAY l 도약판으로서의 플랫폼_ 박정현
PLATFORM 13 & 13 l 세운캠퍼스 & 에스에프메이드_ 황지은
PLATFORM 13 & 13 l 정림건축문화재단포럼 & 언유주얼 서스펙트 페스티벌 서울_ 김상호
PLATFORM 13 & 13 l 영추포럼 & 트레바리_ 황두진
PLATFORM 13 & 13 l 젊은건축가포럼코리아 & 페차쿠차_ 김재경
PLATFORM 13 & 13 l 수요답사 & 문화도시연구소_ 조정구
PLATFORM 13 & 13 l 오픈하우스서울 & 오픈하우스 월드와이드_ 임진영
PLATFORM 13 & 13 l 별의별 도시기록가 & 기록의 발견, 기록의 발현_ 박경선
PLATFORM 13 & 13 l 건축학교 & 이-플럭스_ 오은미
PLATFORM 13 & 13 l 집톡 & 피에이치엠 티비_ 김동희
PLATFORM 13 & 13 l 건축기지 & 캄포_ 우지현
PLATFORM 13 & 13 l 라라 & 부산건축제_ 이기철
PLATFORM 13 & 13 l 동인천탐험단 & 쿠라시키 건축공방_ 이의중
PLATFORM 13 & 13 l 대학생건축과연합회 & 잡담_ 정욱호
ROUNDTABLE l 지금, 건축 플랫폼의 가능성_ 김그린, 이재준, 임동우, 정다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