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시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삶터 행복한 울산”

울산시, ‘2030년 울산광역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안)’마련, 19일~12월 4일 주민공람, 내년 2월 확정 고시

  •  

cnbnews 한호수기자 |  2020.11.19 15:55:49

울산시청 전경(사진=울산시 제공)

울산 시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삶터 행복한 울산을 ‘비전’으로 하는 ‘2030년 울산광역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이 수립된다.

이번 수립되는 계획은 향후 10년간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의 기본이 될 법정계획으로 지난해 5월 계획 수립에 착수해 용역을 추진해왔다.

시는 오는 11월 19일부터 12월 4일까지 시 누리집 및 시·구·군 담당부서를 통해 ‘2030년 울산광역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안)’에 대한 주민공람을 실시하고 시민들의 의견을 청취한다.

시 2030년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안)은 기존 기본계획과 달리 정비예정구역을 지정하지 않고 주거생활권별로 노후도 및 사회‧경제적 여건 등을 진단해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생활권 계획을 도입함에 따라 주민 자율성을 강화시키는 사업으로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활권은 5개 구·군별로 20개의 주거 생활권으로 구분해 주민들이 생활하는 주거지를 중심으로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무분별한 정비구역 지정 신청에 대비해 정비계획 수립 시 사전 타당성 검토 절차를 거쳐 정비계획 수립에 대한 적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기준 점수 이상일 경우 재개발사업의 추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주거정비지수 등의 제도적 장치를 도입했다.

기존 정비사업 추진 시 도로, 공원 등 획일화된 기반시설 설치로 인한 주거지의 종합적 관리가 부족한 부분에 대해 공공시설 제공 또는 생활 사회간접자본시설(SOC) 확보 시 인센티브 제공, 공원녹지 확보비율 조정 등을 통해 주거생활권 내 다양한 생활형 결핍시설 설치를 유도해 주거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또 용적률 상향을 통해 정비사업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인센티브 항목을 확대, 지역 건설업체 참여 시 용적률을 최대 20%까지 확대해 지역건설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이번 계획에는 지역경제를 살리고 원활한 정비사업 추진을 위한 용적률 정비, 생활권 계획을 기반으로 한 종합적 주거지 관리 체계 구축 등 체계적인 추진으로 주민이 행복한 삶터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계획(안)에 대해 의견이 있는 시민은 시 누리집 시정소식 ‘고시공고’에서 ‘2030년 울산광역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안)’을 검색-참조해 시와 구·군 담당부서에 우편 등 서면으로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한편 이번 계획(안)은 관계 행정기관 협의, 시의회 의견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내년 2월 확정·고시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