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울산시, ‘스마트 시티 통합 플랫폼 기반 구축’ 완료

11월 시범운영 거쳐 12월부터 본격 서비스, 전국 첫 119출동차에 긴급 영상 실시간 제공, 수배차량 시스템도 본격 운영

  •  

cnbnews 한호수기자 |  2020.11.20 15:59:38

울산시청 전경(사진=울산시 제공)

울산시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구축’ 1차 사업에 이어 2차 사업을 완료하고 11월 한 달간 시범운영기간을 거쳐 오는 12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고 20일 밝혔다.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구축사업’은 시가 지난해 국토교통부가 공모 한 통합플랫폼 기반구축사업 공모에 선정됨에 따라 추진됐다.

사업비는 공모 선정으로 확보한 국비 6억원과 시비 6억원 등 총 12억원이 투입됐다. 1차 사업은 지난해 12월부터 6월까지 2차 사업은 6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됐다.

1차 사업은 울산시 스마트시티센터가 시 전역에 설치돼 있는 재난, 산불, 태풍, 방범 CCTV 등 7233곳 CCTV 영상을 통합 관리하고 재난, 화재, 범죄 및 전자장치 부착자 위반행위 등 긴급 상황 발생 시 주변 5곳 CCTV 영상을 재난상황실, 119종합상황실, 112상황실, 법무부 위치추적관제센터에 실시간 제공해 신속 대응토록 하는 사업이다.

시범 기간 중 매일 200여 건의 긴급 상황에 대한 CCTV 정보를 관계기관에 신속 제공 중에 있다.

2차 사업은 ▲119 출동차 긴급영상 지원, ▲경찰청 수배차량 검색지원, ▲사회적 약자 지원과 인프라 구축 등 서비스 확대 사업이다.

‘119 출동차 긴급영상 지원’은 전국 첫 사업으로 기존 119 종합상황실과 더불어 119 출동 차량에도 현장영상을 제공해 화재 진압・인명 구조를 위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수배차량 검색지원’은 외곽지에 설치된 100여대 CCTV를 이용해 수배차량 발견 시 경찰청으로 차량 위치, 이동방향 등의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사회적 약자 지원은 발달장애인・치매노인 대상으로 통합플랫폼과 연계된 위치추적 단말기를 보급해 위급상황 시 도움 요청, 보호자 연락・경찰 신고 등이 가능토록 서비스 인프라 구축을 완료했다.

시 관계자는 “울산형 뉴딜사업의 스마트 뉴딜 추진과제인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구축을 통해 시와 구・군에서 개별 설치・운영 중인 폐회로티브이 영상을 공동 활용함으로써 정보공유와 협업기능이 강화돼 있다”며, “시민 누구나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도시로 거듭나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스마트 도시 안전망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지난 6월 25일 5개 구・군과 울산지방경찰청, 법무부 위치추적 대전관제센터, 53사단 127연대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사업추진에 따른 기관별 정보시스템 연계와 상호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