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1.18 10:52:03
부산시가 국내외 기업의 부산 내 투자를 유인하기 위한 ‘투자지원제도’를 전면 개편하고 기업 투자유치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18일 발표했다.
앞서 시는 위축된 투자심리 회복과 기업의 신규투자 촉진을 위해 지난해 5월부터 부산시 자체 투자지원제도를 정비했다. 이는 기존 산업통상자원부가 운영하는 투자보조금과는 별개 제도다.
시는 조례, 시행규칙, 지침, 매뉴얼 총 7개로 각기 운영되던 규정을 통일된 기준으로 조정해 ‘부산시 기업 및 투자유치 촉진 조례’를 전부개정하고 ‘부산시 기업 및 투자유치 지침’을 별도 제정했다.
주요 내용은 ▲2000억원 이상 대규모 투자 시 건축설비비 최대 300억원 지원 ▲국내 복귀기업 해외설비 이전비 최대 50억원 ▲역내 이전기업 부지 매입비, 건축설비비 최대 40억원 ▲지식서비스산업 사무실 매입비 최대 2억원, 설비투자금 최대 3억원, 고용보조금 1인당 250만원 ▲컨택센터 사무실 매입비 최대 4억원, 설비투자금 최대 6억원, 고용보조금 1인당 200만원 등이다.
외국인투자기업의 경우 해외 첨단기술을 지닌 부품·소재기업, 미래 유망 신산업 업종을 지역으로 끌어들여 산업경쟁력을 높이고자 했다. 주 내용은 ▲용지매입비 30%, 건물임대료 50% 지원 ▲고용보조금, 교육훈련보조금 1인당 최대 50만원 ▲컨설팅비 최대 2000만원 ▲지방세 감면, 관세 면제 ▲부산 강서구 소재 외국인투자지역 제공 등이다.
특히 시는 생산성이 높은 투자유치 업무환경 조성을 위해 ‘부산시 투자유치 시스템’을 연내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현재 여러 매체로 관리하는 투자 정보를 시스템 안에 일원화하고 기업 자료는 시 클라우드 서버에 보관하는 시스템으로 9600만원의 개발 예산을 확보한 상태라고 시는 전했다.
변성완 시장 권한대행은 “부산은 매력적인 정주 환경을 보유하며 성장 잠재력이 큰 도시다. 특히 부산대개조와 가덕신공항 건설은 부산의 기업투자 환경을 획기적으로 바꿀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며 “이번에 강화한 투자지원제를 활용해 국내외 우수기업을 많이 유치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청년을 위한 좋은 일자리도 많이 만들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