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1.18 13:10:53
부산연구원이 스마트사회에 대한 부산시민의 각종 기술 인지도 등 인식 조사를 거쳐 ‘스마트사회 도래에 따른 부산시민 생활양식 변화와 정책 과제’ 보고서를 18일 발표했다.
부산연구원은 지난해 6월 17~28일 부산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술 인지 정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5G 기술이 5점 만점에 3.4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인공지능 3.4점, 4차 산업혁명 3.29점, 자율주행차 3.29점, 빅데이터 3.24점 등의 순으로 높은 인지도를 받았다. 다만 부산시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하는 ‘블록체인’ 기술은 2.61점을 받아 시민들에 비교적 생소한 기술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부산시민은 스마트기기를 평균 2.46개 보유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연령별로는 30대가 3.10개, 20대 3.09개, 40대 2.75개 순으로 나타났다. 시민이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이 92.2%의 비중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컴퓨터·노트북이 41.1%, 태블릿PC 37.5% 순으로 사용 비중이 컸다.
‘스마트사회가 자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에는 ‘정보 습득 용이’가 5점 만점에 3.56점으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어 ‘세상과 연결, 소통’이 3.49점, ‘일상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침’ 3.47점, ‘일상에서의 편리함’ 3.46점, ‘자기계발 가능성 증가’ 3.43점 등의 순으로 높았다.
스마트사회가 부산의 미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소비’가 3.6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안전’ 3.66점, ‘에너지, 환경’ 3.62점, ‘주거’ 3.62점 순으로 뒤를 이었다. 시가 지향할 스마트도시 이미지에 대한 질문에는 ‘일자리가 풍부한 혁신성장 도시’가 18.9%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미래 가치 지향의 사람 중심 도시’가 15.0%로 두 번째로 수요가 높았다.
스마트한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부산시의 우선 정책에 대한 주문도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시민들은 부산시의 우선적인 정책으로 ▲신기술 대비 일자리 마련(23.3%) ▲깨끗한 물, 공기 등 지속가능한 환경정책(10.3%) ▲시민 안전 위한 스마트 안전체계 구축(9.4%) ▲플랫폼 노동 확산에 대비한 노동권익 보호 방안 마련(8.0%)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