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1.25 15:17:31
최근 각국의 탄소중립 전환이 세계 환경의 화두로 떠오르는 가운데 부산시가 ‘2050 탄소중립 도시’를 실현하기 위해선 무탄소 에너지 생산 등의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제기됐다.
부산연구원은 ‘2050 탄소중립 도시 전환 위한 부산의 대응과제’ BDI 정책포커스 보고서를 25일 발표했다.
탄소중립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은 광역시 가운데 인천, 울산, 서울 다음인 네 번째로 탄소 배출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 주요 항만도시와 비교해도 부산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남호석 연구위원은 “탄소중립을 위해 부산에 적용 가능한 재생에너지원 발굴을 확대해야 한다”며 “부산 신재생에너지 시장 잠재량은 태양광과 풍력이 유력하므로 그에 맞는 전력 생산에 집중하기 위한 신산업 투자와 확대가 필요하다. 차세대 신에너지인 수소 에너지의 공급처 다양화를 위해 항만과 공항을 이용하는 다양한 수송 관련 수소화에 대한 선제 대응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부산의 맞춤형 탄소 격리 전략도 함께 제시했다. 그는 “부산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과 가축 분뇨 등을 이용한 바이오차 생산과 활용은 탄소 감축과 신산업 육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며 “도시 산림 조성과 보존은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키므로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도시 숲과 공원 조성으로 나무의 성장을 통한 탄소 격리 효과와 함께 열섬 현상 방지로 에너지 소비 절감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에너지 절감을 통해 정산을 받는 탄소포인트제를 부산형 시스템으로 구축해 부산의 탄소 집약 산업군의 탄소 감축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석유 기반의 선박, 트럭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에 대한 환경부담금 명목의 탄소세 적용도 고려해볼 만하다. 탄소세로 늘어난 세수가 시민 복지와 탄소 감축 관련 기술, 인프라에 지원될 수 있도록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도 있다”고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