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2.17 14:55:59
부산연구원이 최근 반려동물 양육 인구가 늘어남에 따른 반려인과 비반려인의 공존을 위한 우선 과제 도출을 위해 ‘부산시 반려동물 양육 현황과 관리방안’ 보고서를 17일 발표했다.
부산연구원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부산경상대 반려동물보건과 최동락·김수진 교수팀이 수행했다. 먼저 교수팀은 부산지역 반려인 503명, 비반려인 561명을 대상으로 반려동물에 대한 시민 의식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반려동물 양육 현황에서 ‘반려견’을 키운다는 사람이 65.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반려견·반려묘’를 같이 키우는 가정 16.5%, 반려묘만 키우는 가정 12.7%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양육 시민의 애로사항으로는 ‘공공장소, 공공시설의 동반 출입·이용 제한’이 61.4%의 응답률로 가장 높았다. 이어 ▲문제행동 사회적 문제(50.7%) ▲사후처리 문제(37.0%) ▲입양단계 정보 부족(28.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며 월평균 지출비 가운데 가장 많이 발생하는 비용으로는 360명이 병원진료비를 꼽았다. 그 가운데 ‘수술, 입원, 질병 진료비’가 249명(69.2%)으로 가장 많았다.
병원진료비 응답자들은 진료비 절감 최우선 과제로 ‘진료비, 예방접종 비용 지원정책(53.6%)’을 가장 많이 원했다. 또 ‘부분적 공공동물보험 도입(30.0%)’, ‘지자체별 공공의료서비스센터 설립, 운영(14.4%)’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있었다.
반려동물의 등록 여부는 ‘등록’이 71.0%, 미등록이 29.0%로 나타났다. 등록한 이유로는 ▲유실 방지(67.0%) ▲건강관리(16.1%) ▲사후관리(13.7%) 등을 꼽았다.
반면 미등록한 이유로는 ▲등록하는 법을 모름(26.7%) ▲등록해야 하는지 그동안 몰랐음(20.5%) ▲기타(52.7%) 등의 응답이 나왔다.
특히 반려인과 비반려인의 공존을 위한 우선 과제로 ‘반려동물과 공존에 대한 시민의식 개선’이 63.2%의 응답률로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반려인에 대한 책임 강화(45.3%)’ ‘반려동물 양육 관련 필수 소양교육 도입(43.7%)’ ‘동물사랑 범시민 캠페인 운동 활성화(15.1%)’가 그 뒤를 이었다.
반려인과 비반려인의 행복한 공존을 위해 도입해야 할 시설로는 ‘반려동물 종합 테마파크(43.3%’ ‘반려동물 교육문화센터(37.4%)’ ‘반려동물종합복지센터(24.5%)’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지난 2019년 부산에서 한 해 동안 발생한 유실·유기동물은 강아지 4224마리, 고양이 3786마리 총 8010마리로 조사됐다. 문제는 부산이 경기도, 서울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유실·유기동물 개체 수가 많지만 유기동물 보호센터의 수는 경기도 56곳, 서울 54곳에 비해 5개에 그쳐 턱없이 부족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최동락 교수는 “반려동물 양육 인구가 늘며 반려동물 유기, 학대, 다중시설 이용 제한, 물림 사고, 반려인과 비반려인 간 갈등 등의 사회적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며 “부산시의 반려동물 보호와 효율적 관리를 위한 법, 제도, 정책을 검토해 관련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