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2.18 19:10:27
부산교통공사는 전국 6개 도시철도 운영사 노-사 대표가 18일 대구도시철도공사에 모여 ‘공동협의회’를 열고 자금난 대책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의회 회의 내용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전국 6개 도시철도의 당기순손실액은 1조 8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무임수송 손실 부담 등 과거부터 이어온 적자 구조에 더해 코로나19 사태까지 덮쳐 사상 최대의 자금난에 시달린다고 관계자들은 입을 모았다.
협의회에서 한 도시철도 운영사 대표는 “지하철 노후 시설을 개량하기 위해 돈이 필요한데, 돈 없이 어떻게 시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겠느냐”며 우려의 목소리를 전했다.
부산교통공사의 경우 올해로 개통 36년째를 맞아 노후 전동차를 비롯한 시설, 차량 등의 개량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자금이 없어 이를 제때 교체하지 못하는 상황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부산교통공사는 전했다.
이에 전국 6개 도시철도 운영사 대표자들은 지난해에 이어 코로나19 정부 정책 동참과 무임수송으로 발생한 공익서비스 비용의 국비 보전을 강력히 촉구하기로 뜻을 모았다. 우선 지자체와 국회의원, 중앙정부를 상대로 무임수송 손실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요청하고 현재 논의 중인 4차 정부재난지원금 편성 시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코로나19 운영 손실도 포함되도록 요청키로 했다.
또한 무임수송 손실 국비 지원 근거 마련이 되도록 현재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계류 중인 ‘도시철도법 개정안’을 비롯한 관련 법안 통과에 집중하기로 계획했다. 전국 도시철도 운영사 대표들은 지난해에도 정부와 국회를 상대로 공익 서비스 비용에 대한 국비 보전을 몇 차례 요청한 바 있다.
이종국 부산교통공사 사장은 “도시철도의 안전 확보를 위해 무임수송과 코로나19 운영 손실 등 공익서비스 손실에 대한 국비 확보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국민에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철도 운영사 모두가 노력하는 만큼 기획재정부 등 정부에서도 국민 안전을 위해 다시 한번 재검토 해 달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