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2.24 15:21:36
부산연구원이 부산대 유재우 교수 등에 연구를 의뢰한 ‘고(古)도심 동래의 역사·문화적 정체성 지속 위한 정책제안’ 보고서를 24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의 역사, 문화, 행정, 재개발 등 분야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동래의 정체성 지속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포함했다. 설문 응답은 중복 선택이 가능하도록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동래의 지역 정체성을 대표하는 중요한 유형 문화자산으로 전문가들은 ‘동래읍성(100%)’, ‘동래부 관아 건축(75%)’, ‘충렬사(81%)’, ‘동래시장(56%)’ 등을 꼽았다.
반면 동래의 지역 정체성 활성화에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 ‘장기계획 미비(75%)’, ‘문화재 보호 의식 부족(63%)’, ‘재개발·재건축 우선주의(63%)’, ‘통합관리 행정 체계 미비(31%)’를 지적했다.
동래의 지역 정체성을 지속하기 위한 행정 방안으로는 ▲부산시 도시관리계획에 고도심 동래 관련 상위계획 반영(56%) ▲장기적 문화재 관리 위한 마스터 플랜 수립과 예산 확보(50%) ▲문화재 통합관리 행정체계 구상(44%) ▲개발에 따른 문화재 보호 법령과 행정절차 개선(31%) ▲문화재 보호 위한 퇴거 또는 시설물 이전에 필요한 보상 예산 확보(31%) 등을 꼽았다.
지역 정체성 지속을 위한 사업으로는 ▲문화재 복원과 문화재의 공간적 연계·집중화 및 연계사업 추진(100%) ▲기초 발굴과 자료 구축 연구사업(88%) ▲전통 문화유산 기반의 도시재생사업 추진(75%) ▲정체성 제고를 위한 전통 디자인 테마 가로 조성 및 시민 투어 활성화(56%) ▲시민 협정을 통한 환경 개선, 개발 억제(44%)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유재우 교수는 “환태평양의 관문도시 겸 국제도시로서 고도심 부산의 정체성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부산의 고도심인 동래의 역사성, 장소성 발굴과 가치 부여를 위한 적극적인 제도와 지원 및 보존과 활용 방안 제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