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지역 주민이 직접 자기 동네의 미래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생활권계획(시범구역) 확정안’을 내고 부산진구와 사상구를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이번 생활권계획은 부산시의 최상위 법정계획인 도시기본계획 비전과 목표, 전략을 생활권 단위로 구체화해 지역별 특성과 주민 의견을 반영한 미래상과 발전 전략을 담은 상세 계획이다.
먼저 시는 부산진구와 사상구를 주례, 개금, 가야, 당감 4개 소생활권으로 구분해 생활권계획 수립 시범사업을 위해 지난 2019년 8월 용역에 착수했다. 이후 주민들로 구성된 시민참여단 워크숍, 전문가 TF팀 운영 등을 통해 이번 계획안을 확정했다.
생활권계획 시범구역의 미래상은 동부산과 서부산의 광역거점을 연결하는 지역생활권으로 설정했다. 또 9대 목표와 15대 전략을 제시하는 등 주민의 삶을 담은 생활 밀착형 도시계획을 제시했다.
시는 오늘(26일) ‘균형발전을 위한 생활권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 예정이며 아울러 보고회 자료를 부산시 홈페이지 내 ‘도시계획 아고라’에 게재해 시민들에 공개할 예정이다.
이병진 시장 권한대행은 “내년부터 부산시 전역으로 생활권계획을 확대 추진해 지역의 특성에 맞는 생활권별 미래상과 발전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지역 균형발전을 유도하고 지역의 자족성을 강화하는 생활 밀착형 도시계획을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