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3.25 10:14:56
부산시는 국토교통부(국토부)와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가 추진하는 ‘산업단지(산단) 중심 지역 일자리 거점 혁신계획’ 공모사업에 ‘산단 대개조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고 25일 발표했다.
시는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향후 3년간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를 비롯한 지역 내 산단 대개조를 위한 사업비로 총 1조 2340억원 가량의 국책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산단 대개조 사업은 국토부, 산업부, 일자리위원회 등이 중심이 되는 범부처 협업사업이다. 개별 산단의 재생, 고도화뿐 아니라 지자체가 산단 관리기관, 지역 혁신기관과 협력해 ‘산단 중심의 지역 일자리 거점 혁신계획’을 제출하면 정부에서 사업을 패키지화해 지원하게 된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거점산단에 명지녹산국가산단 지정 ▲연계산단에 사상공업지역과 신평-장림산단 지정 ▲연계지역에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지사지역을 지정해 ‘스마트 그린 모빌리티’와 ‘스마트 물류 글로벌 허브’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거점산단인 명지녹산산단은 부산 산단 대개조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해 제조데이터 플랫폼 구축, 스마트공장 고도화 등 고효율·친환경 핵심 소부장 물류 허브를 조성한다. 이를 통해 미래 신산업 전환의 리딩기지로 육성하게 된다.
연계산단인 사상공업지역은 스마트 뿌리산업의 전문 인력 양성 체계를 구축하고 청년 중심의 산단 인프라를 조성하게 된다. 또 기술 혁신형 창업기업 육성 등에 나서 ‘서부산권 스마트 뿌리벨트 기저산단’으로 변모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연계산단인 신평-장림산단은 친환경 고부가 유망 품목 업종으로의 기업 업종 대전환을 지원한다. 또 연구·생산인력 맞춤형 인력 양성 체계를 마련하고 근무자 밀착형 인프라 조성 등에 나서 환친차 핵심 소부장 공급기지로 조성한다는 목표다.
연계지역인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지사지역에는 연구개발특구 등 혁신자원을 활용해 산단 간 융합연구 인프라를 집적화하고 소부장 실증 클러스터를 구축하게 된다. 또 핵심 소부장 기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 등 ‘ICT 기반 디지털 융합혁신지구’와 ‘기업 지원 인프라 집적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해 ▲스마트·그린 모빌리티 소부장 선도 산단 확립 ▲부산형 수출 허브 구축 ▲행복 그린산단 조성 3개의 중점과제를 정해 세부적으로 총 1조 2340억원 규모의 35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병진 시장 권한대행은 “산업단지는 부산 제조업의 중심이며 생산, 고용 등 지역경제의 절대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때문에 산단 혁신 없이는 부산 산업 혁신은 불가능하다”며 “이번 산단 대개조가 다시금 부산 경제 부활의 견인차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이번 국가 공모 선정에 함께 힘을 모아주신 부산지역 국회의원들께도 특별히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