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4.05 14:19:44
코로나19 사태가 발발한 지난해 초부터 1년간 취업자 수의 분석 결과, 부산지역이 대구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감소폭이 큰 지역으로 나타났다.
부산연구원 산하 경제동향분석센터는 5일 위와 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이후 부산 고용상황 변화와 원인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먼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부산의 고용상황 악화가 전국보다 심각해진 원인으로 ▲지역 노동시장의 경제 위기 대응력 취약 ▲고용 탄력상 약화 ▲노동력 수요 측면의 단기간 비자발적 이직자 급증 ▲구인 삼소 등을 지적했다.
특히 부산은 전국적 경제 위기 시 대체적으로 큰 영향을 받는 ‘10인 미만 영세사업체’ 종사자 비중이 지난 2019년 기준 43.7%로 전국 평균치인 40.8%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300인 이상 기업’ 종사자 비중은 11.1%에 그쳐 전국 평균치인 14.5%보다 낮은 상황이다.
아울러 부산은 2019년 기준 제조업 비중이 17.7%로 전국 평균인 27.6%에 비해 10%p 가까이 낮다. 반면 도·소매·숙박·음식업(9.3%), 운수·창고업(6.8%), 부동산업(10.4%) 등 서비스업의 비중은 전국 평균치에 비해 높은 실정이다.
더욱이 부산은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으로 해고, 감원, 폐업, 일자리 부족 등으로 인한 사업체의 비자발적 이직자가 단기간에 급등한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부산지역 사업체의 비자발적 이직자는 전년대비 무려 50.3%(7만 4000여명) 올라 전국 평균 증가율인 8.7%에 비해 크게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경제동향분석센터 이상엽 분석위원은 “고용 절벽 완화를 위해 생활 방역 공공 일자리 사업과 같은 공공 부문 중심의 단기 일자리 사업과 고용보험 가입률 제고를 통한 고용유지를 강화해야 한다. 부산은 20·30대 자영업자 증가가 서비스 산업 고용 선전에 이바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식 기반 서비스업 창업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며 “지식 기반 서비스업 창업은 젊은 층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다. 급등하는 20·30대 무급 가족 종사자는 진학이나 취직을 하지 않으며 직업훈련도 받지 않는 NEET족일 가능성이 크므로 ‘직업능력 개발’ 지원으로 노동시장 진입 기회를 넓힐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