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4.13 15:10:21
부산의 경제 활력도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거의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제2 도시’ 위상을 인천에 넘겨줄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부산상공회의소(부산상의)는 국세청이 최근 확정한 ‘2019 전국 사업자 현황’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13일 발표하고 위와 같이 밝혔다.
사업자 현황은 기준년도의 신규 사업자와 폐업 사업자 동향이 반영된 가동사업자 수 통계다. 이는 경제 활력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사용되는 지표 가운데 하나다.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기준 부산의 총사업자 수는 49만 6345명으로 경기와 서울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다. 그러나 속내를 들여다보면 상황이 다르다.
지난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지역별 사업자수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부산은 증가율 3.1%를 기록해 전국 평균치인 4.0%보다 낮았다. 게다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서울 3.0%, 대전 2.9%를 제외하면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제2 도시’ 위상을 놓고 경쟁 중인 부산과 인천을 비교하면 절대적 사업자 수에서는 인천이 2019년 기준 43만 1526명으로 부산보다 6여만명이 적었다. 반면 지난 10년간 연평균 증가율에서는 인천이 평균 4.5%로 부산을 줄곧 앞질러 온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의는 보고서를 통해 오는 2030년이 되기 전까지 인천의 사업자 수가 부산을 역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부산이 인천에 비해 신규 사업자 증가 수치는 지속해서 줄고 있는 반면 폐업자 수는 늘고 있어 가동 사업자 수에서 인천과의 격차가 빠른 속도로 줄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부산의 경제 활력도 수치가 낮은 것은 체감 경기 회복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 모습이다. 부산상의가 최근 조사한 ‘올 2분기 제조업·소매유통업 경기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수가 다소 회복하긴 했으나 타 대도시에 비해 회복력이 뒤처진 것으로 분석됐다.
2분기 부산의 제조업 경기전망 지수(BSI)는 81을 기록해 전 분기 69에 비해 다소 회복세를 띠었으나 여전히 기준치인 100을 넘기지 못했다. 반면 서울은 114, 광주는 117, 대전 115, 대구 110, 인천 102, 울산 102로 기준치를 넘기며 뚜렷한 경기 회복을 예고했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사업자 수의 감소는 경제 활력도를 떨어뜨리고 일자리 감소와 이에 따른 인구 역외 유출, 지역 총생산액(GRDP) 감소 등과도 직결된다”며 “때문에 현재 흐름을 반전시키기 위해선 사업자 유지 기반 강화와 같은 긴급처방부터 신산업 육성, 기업 유치 등 중장기 대책까지 복합적인 솔루션의 적극적인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