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북도,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위해 대구와 ‘맞손’

환경부 타당성조사 등 향후 승격절차와 지역현안 해결에 공동대응

  •  

cnbnews 이경미기자 |  2021.04.30 21:17:14

팔공산 전경. (사진=경북도 제공)

경북도와 대구광역시는 영남의 명산이자 대구ㆍ경북의 혼과 정신을 품은 팔공산도립공원 일대를 국립공원으로 승격해 보전관리를 강화하고 지역브랜드 가치를 향상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나설 계획이다.

경북도와 대구광역시를 비롯해 팔공산 관할 5개 기초자치단체(영천시, 경산시, 군위군, 칠곡군, 대구시 동구)는 30일 경북도청에서 ‘팔공산국립공원 승격을 위한 대구ㆍ경북 상생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의 주요내용은 성공적인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을 위한 협의체 구성ㆍ운영과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상호협력, 환경부 국립공원 지정절차 공동대응 등이다.

1980년 5월 13일에 지정된 팔공산 도립공원은 1981년 7월 2일 대구직할시 승격에 따라 이듬해 8월부터 대구와 경북으로 관할 구역이 나눠져, 현재 전체 면적인 125㎢의 72%(90㎢)를 경북도가 관리하고 있고, 나머지 28%(35㎢)를 대구광역시가 담당하고 있다.

우수한 자연생태과 함께 국보2점과 보물28점 등 91점의 지정문화재를 가져 역사ㆍ문화의 보고로 불리는 팔공산은 총 5295종의 생물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생물다양성 측면에서도 기존 국립공원 이상의 가치를 가진다.

과거 2012년,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추진 시도는 충분한 지역공감대 형성부족과 강한 주민 반대로 무산됐으나, 지난 2018년 10월 팔공산에서 개최된 대구ㆍ경북 상생협력토론회에서 이철우 지사와 권영진 시장의 합의로 시행하게 된 ‘팔공산도립(자연)공원 보전ㆍ관리방안 연구용역’을 통해 재점화됐다.

시도민, 토지소유주, 공원주민과 상인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포함한 용역결과,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이 가장 효율적인 팔공산 보전ㆍ관리방안으로 제시되면서 국립공원 승격추진을 최종 결정하게 됐다.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추진 대상지는 현재 대구ㆍ경북이 관리하는 팔공산도립(자연)공원 전체 면적(125㎢)이며, 다음 달 중으로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건의서를 환경부로 제출할 계획이다. 앞으로 모든 절차가 원활하게 진행된다면, 이르면 내년 6월쯤 국립공원 승격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 브랜드 가치 향상으로 시도민 자긍심 고취와 함께 국가대표 자연자원으로 체계적으로 보전ㆍ관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국가예산 투입으로 고품격 탐방서비스가 제공되고, 편의시설과 탐방기반시설도 크게 확충돼 관광객 유치와 지역경제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은 500만 시ㆍ도민과 함께하는 대구ㆍ경북 상생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 분명하다”며 “앞으로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을 위해 경북도와 대구광역시가 앞장서서 노력할 것을 약속하며, 5개 시군구에서도 적극 도와달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