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호수기자 |
2021.08.31 15:05:14
울산시는 기획재정부가 오는 9월 3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인 ‘2022년도 국비 정부(안)과 관련, 울산시 경우 총 3조2101억원 예산이 반영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정부안(2조7884억원)에 비해 15% 이상 증액된 역대 최대 규모이며 3조원 돌파도 처음이다.
2022년 정부 예산안이 2021년 558조원에서 604조원 수준으로 8% 정도 증가한 것과 비교해도 크게 증가한 것이다.
하반기 결정되는 공모사업 및 국회 심의 단계에서 추가 반영될 예산에 10월말 확정될 보통교부세를 포함한다면 4조원 대에 가까운 국가예산 확보가 예상된다.
울산시는 송철호 시장을 중심으로 그동안 지역현안과 국비확보를 위해 과기부, 복지부 등 중앙부처 장관은 물론 기획재정부 제2차관, 예산실장 등 고위급 간부들을 수시로 만나 어려운 지역상황을 설명하고 정부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적극 요청해왔다.
또 지역 정치권과 공조를 위해 지난 5월 지역 국회의원과 예산정책협의회, 7월 민주당과 예산정책협의회를 개최했으며, 경제부시장을 비롯한 간부 공무원이 수시로 지역 국회의원실을 방문해 주요 국비사업에 대한 정부 예산심의 동향을 공유하고 확보전략을 모색했다.
특히 국민의힘 원내대표 김기현 의원, 문광위 위원장 이채익 의원, 문광위 이상헌 의원, 국토위 박성민 의원, 예결위 권명호 의원, 국민의힘 비서실장 서범수 의원 등의 전방위적 협력은 국가예산 정부안 반영에 큰 힘을 더했다.
울산시는 이로써 민선7기 핵심사업의 성공적 안착이라는 초석을 놓게 됐다.
대표적인 사업을 보면, 미래신산업 육성을 통한 새로운 성장 발판 마련을 위해 △울산 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71억원) △유전체 기반 바이오기술 지원센터 사업(16억원)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11억원)이다.
이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사업(65억 원) △지능형 전력구동 핵심부품 지원 기반구축(24억원) △인공지능(AI)기반 중량화물 이동체 물류플랫폼 실증(70억원),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구축(25억원),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27억원) 등의 사업이 반영됐다.
광역연합 선도도시 실현을 위한 교통망 구축을 위해서는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142억원) △농소~강동간 도로개설(100억원)이다.
또, △농소~외동간 국도 건설(297억원) △청량~옥동 국도건설(109억원)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 사업(644억원) △송정역 환승센터 구축(21억원) △미포국가산단(주전~어물동) 진입도로 확장(8억원) 등의 사업이 있다.
안전도시 건설을 위한 사회안전망(의료, 안전, 고용) 구축을 위한 사업으로는 △산재전문 공공병원 건립(457억원) △고기능성 다목적 소방정 구입(89억원) △국가산단 지하배관 디지털트윈 선도사업(30억원)이다.
이어 △재해안전항만 구축사업(810억원) △영남권글로벌 숙련기술진흥원 설립(4억원) 대중소 상생형 협력사업(20억원)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150억원) 등이 있다.
친환경 에너지도시로의 도약을 위해서는 △부유식 해상풍력 종합지원 콤플렉스 조성사업(20억원) △수소차 및 수소충전소 보급 확대 사업(161억원) △수소 시범도시 조성(80억원) △수소전기트램 실증사업(96억원) △원전해체연구소 건립(503억원)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46억원)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육성 기반구축(25억원) 등의 사업이 반영됐다.
한편, 울산 재도약 기틀 확립을 위한 9개 성장다리(9BRIDGE) 관련 사업으로는 21개 사업에 4278억원 정도가 반영돼 사업 추진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울산시는 내년도 국가예산 정부안이 9월 3일 국회로 제출되면 본격적인 국회대응 체제로 전환해 △울산의료원 건립(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조선해양 철의장 제조산업 디지털 전환 사업(31억원) 등 미반영 사업에 대해 지역 국회의원 설명, 국회 상주 캠프 운영 등을 통해 국회 증액 활동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국회에 제출된 내년도 정부안은 각 소관 상임위, 예결위 등의 심의를 거쳐, 12월 3일 본회의 통과에 따라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