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우크라이나 전쟁 속 건설업계…‘러시아 경제제재’ 유탄 맞나

  •  

cnbnews 정의식기자 |  2022.02.25 09:38:17

전쟁 발발에 진출 기업들 ‘초비상’
러시아 진출한 건설사 무려 88곳
서방의 경제제재 장기화되면 타격

 

열차에 실려 우크라이나 국경 인근 역에 도착한 러시아군 장갑차들.(사진=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내 건설사들의 현지 사업도 악재를 만났다. 현재 우크라이나 관련 사업 규모는 크지 않지만, 러시아의 경우 우리 기업이 수주한 대형 사업만 176건에 달할 정도로 많기 때문이다. 미국과 서방의 러시아 경제제재가 현실화될 경우, 이 사업들이 중단·연기될 가능성이 커져 건설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CNB=정의식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되자 현지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국내 건설사들이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 러시아가 군인 약 13만여명을 우크라이나 국경 인근에 집결시키면서 시작된 이번 전쟁 위기는 24일(현지시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군시설과 국경 병력에 대한 공격을 단행하면서 사실상 전쟁 국면에 진입했다.

국토교통부는 우크라이나 현지에서 일하던 한국인 건설 근로자 4명 전원을 폴란드, 터키 등 인근 국가로 대피시킨 뒤 상황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새벽 우크라이나 내 '특별 군사작전'을 승인했다.(사진=연합뉴스)

국토부는 한국인 근로자의 안전 확보와 기업 보호를 위해 기획재정부, 외교부 등과 협력하는 한편, 해외건설협회와 ‘민관합동 긴급 상황반’을 구성해 대응하고 있다.

이처럼 당장은 현장 근로자의 안전 문제가 불거질 가능성이 크지 않지만, 전쟁이 본격화하면 미국 등 서방 진영이 러시아에 경제제재로 대응할 것이 확실시된다. 이미 미국은 이번 사태를 러시아의 침공으로 규정하고 러시아 은행 등에 대한 제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면 과거 이란 제재 당시와 마찬가지로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지역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의 사업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우크라이나보다 러시아 시공사업 많아



건설업계와 해외건설협회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에는 현재 13개 한국 건설사가 18건, 총 3억1000만달러 규모의 사업을 수주한 상태다. 다만 이 중에서 현재 시공이 진행 중인 사업은 6건, 1002만달러 규모에 불과하다. 진출한 기업도 도화엔지니어링, 동명기술공단, 동성엔지니어링 등 건설사가 아닌 엔지니어링 업체이며, 상주 인력도 모두 귀국한 상태다.

반면, 러시아의 경우 관련 기업의 수가 훨씬 많다. 국내 건설사들이 러시아에서 수주한 건설·토목 사업은 88개사, 176건, 159억500만달러에 달한다. 이 중 시공이 진행 중인 사업은 18건, 103억6100만달러 규모다. 우크라이나와 비교하면 비교가 불가능한 수준이다.

 

가즈프롬네프트의 러시아 모스크바 정유공장 현대화 프로젝트 현장.(사진=DL이앤씨)

현재 러시아에 시공 현장을 가진 건설사는 현대건설 1곳인 것으로 파악됐으며, 이 외에 DL이앤씨, 현대엔지니어링, 롯데건설, 삼성엔지니어링 등은 설계 위주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현장 근로자 수는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이들 기업의 사업장도 분쟁 지역인 우크라이나 동부와는 거리가 먼 러시아 본토 지역이라 이번 분쟁으로 인한 안전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경제제재 길어지면 막대한 손실 불보듯



문제는 경제제재다. 우크라이나 분쟁의 진행 양상에 따라 서방 진영이 러시아에 대해 ‘금융자산 동결’ 등 강도 높은 경제제재를 실시할 경우, 국내 기업들의 러시아 사업도 악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

먼저, 러시아 현장에 나가있는 국내 건설사들이 공사비를 지급받지 못하거나, 지급기한이 연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미수금을 손실로 반영하게 되면서 건설사들의 재무상황이 악화될 수 있다.

해외건설협회 측은 “국내 건설사들의 러시아 사업장은 모두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등이 발주한 사업이라 설사 금융동결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해도 기성 미지급 상황이 오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경제제재가 장기화되면 결국 러시아 정부도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본격화하면서 정부가 수출통제 전담 상담창구인 '러시아 데스크' 운영을 개시했다. 서울 강남구 전략물자관리원의 러시아 데스크는 미국이 러시아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를 강화할 경우 국내 기업 등을 대상으로 취급 제품이 수출 통제 품목에 해당하는지 등을 상담해주는 전담 창구다.(사진=연합뉴스)

건설업계도 아직까지는 상황을 낙관적으로 보는 분위기지만, 최악의 상황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CNB에 “러시아의 경우 이란과 달리 서방 국가나 기업들과 보다 대규모로 긴밀하게 엮여있는 나라여서 경제제재가 시행된다 해도 심각한 타격은 받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우크라이나 분쟁이 장기화되거나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을 경우엔 러시아는 물론 유라시아 국가들 전반에 걸쳐 사업이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CNB=정의식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