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보건환경연구원, 해외 고위험 신종가축전염병 대비 당부

흡혈곤충 매개로 전염되는 소 럼피스킨병 등

  •  

cnbnews 한호수기자 |  2022.09.23 15:48:45

울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이 23일 최근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신종 동물질병이 늘어남에 따라 가축사육농가들의 각별한 예찰을 당부하고 나섰다.

교통수단의 발달로 해외 여행객이 증가하고 국가 간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일부지역에서만 발생하던 동물 질병의 전파속도가 날로 빨라지고 있다.

지난 2019년 아프리카 야생멧돼지에서만 발생하던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축산물을 통해 유럽과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현재까지도 농장사육돼지와 야생멧돼지에서 계속 발생하는 등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소 럼피스킨병의 확산도 심상치 않다. 지난 1929년 아프리카의 잠비아에서 처음 발생한 이 질병은 1989년 이스라엘로 전파한 이후 2013년부터 터키, 그리스, 러시아 등에 이어 2019년부터는 중국, 대만, 싱가포르 등 아시아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럼피스킨병은 이름 그대로 피부에 발생하는 결절(혹)·궤양성 병변을 특징으로 회음부(외음부와 항문사이)나 유방, 목 주위 부분에서 두드러진다. 구강점막에 발생한 결절(혹)로 인해 잘 먹지 못하고 침을 흘리는 증상은 구제역과도 비슷하다.

감염된 소의 절반가량이 증상을 보이며, 증상을 보인 소들 중 10% 이하에서 폐사가 일어난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생되지 않아 무시되어 왔던 소의 신종 질병인 만큼, 농가에서도 임상증상을 자각하지 못해 유입 시 조기 방역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에 동물위생시험소는 ▲외국 발생상황 점검 ▲소 사육농가에 대한 교육·홍보 ▲진단능력 향상 등을 통해 소 럼피스킨병에 대한 사전 준비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흡혈 파리, 모기 등 흡혈 곤충에 의해 전파되는 만큼 농가 단위에서 예방과 예찰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동물위생시험소 관계자는 “럼피스킨병의 유입에 대비해 진단법을 정립하고 예찰을 추진하고 있으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농가 스스로 관심을 기울여 임상증상을 숙지하고 조기에 신고함으로써 유입 즉시 종식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