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연루된 의혹을 받고 있는 ‘사법 리스크’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이 대표에게 실제 비리가 존재할 것’이라는 의견과 ‘야당에 대한 정치보복’이라는 의견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국민리서치그룹과 에이스리서치가 뉴시스의 의뢰로 지난해 12월 27~29일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실제 비리가 존재할 것’이라는 답변이 47.4%로 ‘야당에 대한 정치보복의 성향이 크다’는 답변 44.4%보다 오차범위 내에서 우세했으며, ‘잘 모르겠다’는 답변은 8.2%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여론조사 결과는 3일 발표됐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지역별로는 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는 서울과 인천·경기에서 ‘실제 비리가 존재할 것’이라는 답변이 각각 47.4%, 45.7%로 ‘야당에 대한 정치보복 성향이 크다’를 답변 각각 44.2%, 44.1%과 팽팽했다.
반면, 민주당의 징치적 텃밭인 광주·전남·전북에선 ‘야당에 대한 정치보복의 성격이 크다’는 답변이 59.2%로 ‘개인 비리’ 30.7%보다 28.5%p 더 높은 반면, 국민의힘 심장부인 대구·경북은 62.3%가 ‘실제 비리가 존재할 것 같다’고 답해 ‘야당에 대한 정치보복의 성향이 크다’는 답변 31.2% 보다 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이어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 43.3%, 30대 38.3%, 40대 62.1%, 50대 44.4%, 60대 이상 37.2%가 ‘야당에 대한 정치보복의 성향이 크다’고 답변한 것으로 집계된 반면, ‘실제 비리가 존재 할 것’이라는 답변은 20대 42.3%, 30대 53.0%, 40대 32.7%, 50대 49.1%, 60대 이상 55.5%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100% 자동응답 방식(ARS),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돼 표본오차는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조사개요는 국민리서치그룹과 에이스리서치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CNB뉴스=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