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위 “리더쉽 부족·정치적 중립 강화위한 혁신”
센터장 “날 몰아내려는 수순”… 이사회 판단 주목
광주시자원봉사센터 혁신위원회 구성과 관련 ‘절차상 하자’라는 주장과 함께 혁신위원회가 내놓은 ‘혁신안’도 ‘센터장을 몰아내려는 수순’이라며 반발하는 등 잡음이 일고 있다.
10일 광주시자원봉사센터(이하 센터)에 따르면 센터혁신위원회(이하 혁신위)는 지난해 센터 행정감사 과정, 리더쉽 부족, 정치적 중립 의무 강화, 혁신을 전제로 한 자원봉사 활성화 공감 등을 이유로 지난 3월 말 박모 씨를 위원장으로 위원 11명을 위촉, 혁신위를 구성했다.
이 같은 혁신위 구성을 두고 임모 센터장은 “자신과 이사회와의 협의도 없이 위원회가 구성됐다.”면서 “절차상 하자”라며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센터 사무처장은 “이사장과 센터장에게 추진 과정을 보고했다.”고 밝혀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또한 ‘혁신위 구성은 이사회 의결사항’이라는 항의에 혁신위는 구성 2주일가량이 지난 4월 15일 임시이사회를 열고 이사들을 개별적으로 방문, 서면심의 방법으로 이사회의 심의·의결을 뒤늦게 거쳐 구색을 갖췄다.
그러나 이날 센터가 임시이사회 회의에 부친 안건은 '광주시자원봉사센터 혁신위원회 설치의 건 심의·의결'로 제안자는 김모 이사장으로 돼 있었으며, 결재라인에서 센터장의 결재는 없었다. 또 안건도 '혁신위원회 설치의 건 심의·의결'이어서 혁신위원 명단도 없었다. 임모 센터장이 "자신과 이사회와의 협의도 없이 위원회가 구성됐다."고 주장하는 근거가 여기에 있다.
최초 혁신위 구성을 누가 지시했는지도 오리무중이다. 혁신위 측은 지난 3월 6일 광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시장님과의 월요대화’에서 ‘광주시 자원봉사 발전 방향’에 대한 대화 진행에서 시 센터혁신을 전제로 한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는 다수의 여론을 수렴해 혁신위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특별한 지시자는 없었으며, 다수의 여론이 혁신위를 탄생 시켰다는 주장이지만 설득력은 없어 보인다.
누군가의 지시가 없었다면 이처럼 일사불란하게 혁신위가 꾸려졌을까 하는 의구심은 여전히 남는 대목이다.
이 같은 궁금증을 풀기 위해 시청 관계자에게 문의했으나 “주변에서 ‘혁신위 구성을 시에서 하면 어떻겠냐’고 제안은 받았지만, 그러나 시가 주체적으로 나설 수 없어 자원봉사센터와 같이했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그러나 ‘누구 지시였냐?’는 질문에는 답변을 하지 않아 지시한 인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혁신위 구성 당시 주도적으로 설립을 추진했던 인물들은 시청 주무 계장과 위원장 박씨, 센터 사무처장 셋이 모여 방향과 구성 등 초안을 기획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박씨는 위원장으로 추대되고, 11명의 위원 가운데 박씨를 포함한 5~6명만이 사실상 혁신위를 이끌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은 잡음에도 활동을 이어왔던 혁신위는 지난 3일 ‘혁신 권고문’을 내고 법인 이사회 전문성 강화, 검증된 센터장 선임, 센터장 리더쉽 한계 극복 등 24개 안을 센터에 권고했다.
하지만 권고문에서 밝힌 ‘검증된 센터장·센터장 리더쉽 부족’ 등은 센터장의 거취를 직접 겨냥하고 있어 이를 평가할 공정성과 객관적인 판단의 근거가 모호하고, 권고안 내용이 자칫 ‘인신공격’으로 해석될 수도 있어 명예훼손 등 법정 공방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보인다.
이와 함께 지난달 26일 위원장 박씨가 임모 센터장을 찾아와 ‘물러나는 것이 좋겠다’는 발언도 오해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혁신위의 역할은 혁신 권고안을 센터에 전달하면 된다. 센터장의 거취문제는 권고안에 따라 센터 이사회에서 결정하게 돼 있어 박 위원장의 행동은 월권행위라는 지적이다.
임모 센터장은 “위원장 박씨가 찾아와 ‘통 큰 결단으로 물러나는 것이 좋겠다’라는 황당한 제안을 했다.”면서 “절차도 무시한 채 급조로 구성된 혁신위와 누군가가 나를 몰아내려고 하는 일련의 작업인 것 같다는 확신이 들었다."고 말했다.
위원장 박 씨는 “센터장에게 ‘통 크게 결단해 물러나는 것이 좋겠다’라고 한 발언은 이 같은 말이 권고문에 기록되는 것이 센터장에게 누를 끼칠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직접 말한 것”이라며 “특정인을 염두에 둔 위원회 구성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센터 이사회의 역할이 미비하고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비전문가들이 센터장으로 왔다.”면서 “민선 8기로 넘어오면서 ‘내사람 심기’라는 프레임으로 접근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혁신위는 지난 3일 권고문을 내고 혁신권고안을 센터에 제시함에 따라 광주시는 혁신 권고문에 대한 이행 여부 계획안을 오는 28일까지 제출해 줄 것을 센터에 요청했다.
이에 따라 센터는 조만간 이사회를 열고 권고안에 대한 심의를 거칠 계획으로 권고안에 대한 사안별 수용 여부는 이사회 3/2이상 인원의 찬성을 얻어야 효력이 있어 센터장의 거취에 대한 이사회의 판단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임모 센터장은 3년 임기로 지난해 6월 1일 부임했다. 임기는 2025년 5월 31일까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