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뉴스=신규성 기자) 대구시와 경북도간 통합 추진을 위한 4자 회동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렸다.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한자리에 모여 대구·경북 통합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먼저 대구·경북 통합의 필요성과 관련해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는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및 지역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두 광역자치단체의 통합이 시급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행안부장관과 지방시대위원장은 인구감소, 지방소멸 등 국가적 위기 상황과 수도권 집중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행정체제 개편 방향과 부합한다며, 통합 필요성에 공감했다.
통합의 기본 방향으로는 대구·경북 합의안에 기초한 통합 추진, 정부 차원의 지원방안 마련 등이 제시됐다.
우선 대구·경북에서는 500만 시∙도민이 공감할 수 있는 통합방안을 마련하고, 시‧도의회 의결을 거쳐 연말까지 ‘대구‧경북 통합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대구·경북 통합이 행정체제 개편의 선도사례가 될 수 있도록 통합의 직·간접적 비용 지원 및 행·재정적 특례 부여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향후 정부는 대구·경북의 합의안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범정부 통합지원단’을 구성해 정부 차원의 ‘대구·경북 통합 지원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추진 일정과 관련해서는, 2026년 7월1일에 통합자치단체를 출범시키기 위해 올해 안에 특별법 제정을 목표로 관련 절차를 이행하기로 합의했다.
앞으로 대구‧경북 행정통합 실무단에서 합의안이 마련되면, 2차 회동을 개최해 추가적인 논의를 진행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이상민 장관은 모두 발언을 통해 “정부는 대한민국의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미래 지향적인 행정개편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면서 “대구시와 경북도의 통합은 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행정체제 개편 방향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대구·경북 통합이 행정체계 개편의 선도적, 모범적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적극 마련하겠다”며 “통합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범정부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우동기 위원장은 “지방주도 균형발전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광역 정부 간 통합이 가장 바람직한 대안”이라며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우리나라 최초의 메가시티로 탄생할 것으로 기대하며 지금 타이밍이 가장 적절한 시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경북을 통합하자는 안은 대한민국 지방행정개혁의 신호탄이 될 수도 있다”면서 “대한민국은 100년 동안 3단계 행정체제로 이루어져 왔는데, 이제는 2단계 행정체제로 전환을 할 때가 됐다”고 밝혔다.
이철우 지사는 “지금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수도권 대 비수도권 변경 문제, 저출산 문제, 중앙권력에 지방권력의 종속 문제, 이런 것들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게 결국 (대구)경북 행정통합”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