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 중앙수사부(검사장 이인규)가 4일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포괄적 뇌물’로 보고 있는 태광실업 박연차 회장의 돈 600만 달러 등의 명목과 사용처에 대한 사실 관계, 증거, 법률검토 사항 등이 구체적으로 적시한 수사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임채진 검찰총장(사진 오른쪽, 왼쪽은 이인규 즁수부장)에게 제출했다.(뉴시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검사장 이인규)가 4일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포괄적 뇌물’로 보고 있는 태광실업 박연차 회장의 돈 600만 달러 등의 명목과 사용처에 대한 사실 관계, 증거, 법률검토 사항 등이 구체적으로 적시한 수사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임채진 검찰총장에게 제출했다.
수사팀이 보고한 첫 번 째 내용은 지난해 2월 박 회장의 홍콩법인 APC 비자금 계좌에서 노 전 대통령의 조카사위 연철호씨의 계좌로 송금된 뒤 아들 건호씨가 함께 쓴 500만 달러의 흐름, 투자내역 등이며, 특히 검찰은 노 대통령이 500만 달러의 흐름을 모두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 근거 중 하나는 노 전 대통령이 개발한 인맥관리 프로그램 ‘노하우2000’이 담긴 노트북이 퇴임 전인 지난해 1월 청와대에서 건호씨가 투자한 오르고스사로 갔다가 다시 돌아온 것과 관련해 검찰은 건호씨가 이 프로그램을 상품화하기 위해 노트북을 받은 것이며, 노 전 대통령도 이 과정에서 500만 달러의 존재를 알게 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보고서에 담긴 두 번 째 내용은 아직도 사용처가 밝혀지지 않은 ‘권양숙 여사의 100만 달러’와 관련된 수사결과로서 노 전 대통령과 권 여사는 2007년 6월 정상문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을 통해 건네받은 이 돈을 “빚을 갚는데 썼다”고 밝히고 있지만, 검찰은 이 같은 진술을 믿지 않고 있다.
특히 검찰은 권 여사가 100만 달러를 받은 이후 미국에서 체류 중이던 아들 건호씨 등에게 수십만 달러를 송금한 사실을 확인, 이 돈이 100만 달러의 일부일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와 관련 수사팀은 노 전 대통령을 소환하기 전인 지난주 초 김만복 전 국가정보원장과 국가정보원 직원 등을 불러 조사했으며, 이 과정에서 국가정보원이 건호씨의 미국생활 동향을 파악해 보고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국민의정부 때 국가정보원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 홍걸씨의 동향을 파악, 원장에게 보고한 사례가 있기는 하지만 대통령 가족의 사생활까지 지원한 사실이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밖에 이 보고서에는 정상문 전 청와대 비서관이 횡령한 공금 12억5000만원과의 연관성, 2006년 9월 박회장에서 회갑선물로 받은 1억원짜리 명품시계 2개에 대한 내용 등도 담겼으며, 다만 횡령 혐의의 경우 노 전 대통령이 개입했다는 증거를 찾지 못해 혐의사실에서는 제외시켰으며, 명품시계 2개도 뇌물로 봐야할지 결정짓지 못한 상태로 보고서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함편 임 검찰총장은 4일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신병처리 문제에 대해 “준사법기관인 검찰이 독자성을 확보해야 하고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한다”며 “검찰의 독자적인 판단에 따라 합리적인 결정을 도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임 총장은 특히 언론 및 정치권 등 일각에서 여러 의견을 제시하고 있는데 대해 “검찰의 결정이 그들의 견해와 다를 경우 집중포화를 할 것”이라는 우려감을 표시하면서 “이런 분위기에서는 검찰이 소신 있는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기 때문에 성숙한 사회조성을 위해 자제해 주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수사결과를 보고받은 임 총장은 검찰 내부 의견을 수렴해 이르면 이번 주말 아니면 늦어도 다음 주중에는 노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