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 미래 시민 중심 전략으로”…부산시의회, 미래발전 라운드테이블 개최

산업은행 이전, 북극항로 전략, 해양수산부 이전 등 10대 과제 논의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07.04 11:58:08

3일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부산 미래 발전 전략 라운드 테이블’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시의회 제공)

부산의 미래 발전 전략을 시민 중심으로 구체화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 부산시의회에서 마련됐다.

부산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가 지난 3일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부산 미래 발전 전략 라운드 테이블’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부산연구원과 공동으로 주최한 이날 행사는 시의원, 부산시 관계자, 언론, 시민단체 등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열렸다.

성창용 기획재경위원장은 좌장 발언에서 “부산의 미래 전략은 정치적 구호나 단편적 시각을 넘어서야 한다”며 “산업은행 본사 이전이나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 제정은 단순한 유치가 아닌, 실질적이고 시민 중심의 발전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정책은 소속이나 관점을 떠나 실현 가능성이 핵심”이라며, “오늘 제안된 다양한 의견들이 실행력 있는 전략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장하용 부산연구원 미래전략기획실장이 ‘부산 미래 발전 10대 전략과제’를 발표했다. 주요 과제로는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 제정 ▲트라이포트 구축 ▲북극항로 활성화 ▲산업은행·해사전문법원 부산 이전 ▲디지털·친환경 산업 육성 ▲경부선 철도 지하화 등이 제시됐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시의원들과 언론, 시민사회 인사들이 현실적인 해법과 대안을 제시하며 열띤 논의를 펼쳤다.

김태효 의원은 “트라이포트 전략이야말로 부산만의 미래를 여는 열쇠”라며, “정책 용어는 시민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풀어야 하며, 시청과 시의회가 함께 설득력 있는 메시지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HMM 유치나 해수부 이전도 단일 공약이 아닌 부산 전략의 일부로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형철 의원은 “부산이 국가 균형발전의 핵심이 되기 위해서는 해양수도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며 “항만, 공항, 철도를 잇는 트라이포트 전략과 함께 북극항로, 산업은행 이전이 맞물려야 진짜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박중묵 의원은 지방정부의 한계를 지적하며 “지방자치가 30년을 넘었지만 여전히 중앙의 통제 아래 있다”며 “자치입법권, 자치조직권, 자치재정권이 명확히 보장돼야 지역 특성을 살린 정책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반선호 의원은 “시민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전략을 구체화하고, 시와 시의회가 함께 중심을 잡아야 한다”며 “정치적 논쟁보다 시민의 삶에 도움이 되는 내용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언론계에서는 전략의 실현 가능성과 시민 접근성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정달식 부산일보 논설위원은 “전략이 중앙정부에만 치우쳐 시민과 괴리돼 있다”며 “해수부 이전, 북극항로 전략, 해사법원 설치 등은 실현 가능성이 높은 핵심 사안이며, 동천 같은 도시 자산을 활용한 재생 전략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민사회 대표로 참석한 박재율 상임대표는 “엑스포 이후 부산은 명분보다 실리를 챙겨야 한다”며 “해수부 이전과 북극항로 특별법은 정파를 넘어 국가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시 기획관 이경덕은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부산을 새로운 발전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며 “인프라, 교육, 시민의 행복이 연결된 지속 가능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성창용 위원장은 마무리 발언에서 “오늘 논의된 전략들이 단순한 의견을 넘어 실현 가능한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시의회가 적극적으로 역할을 다하겠다”며 “부산의 미래는 다양한 주체가 함께 방향을 잡고 실행해 나갈 때 가능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