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BISTEP)이 지난 2일 부산시청 1층 대회의실에서 ‘2026년도 부산광역시 연구개발 투자방향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BISTEP 김영부 원장의 개회사와 부산시 황준우 연구개발과장의 환영사로 막을 올렸으며 ‘2026년도 부산시 연구개발 투자방향(안)’ 발표와 전문가 패널 토론을 진행한 후 질의응답을 통해 청중과 소통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BISTEP 평가분석본부 정형구 책임연구원이 '2026년도 부산시 연구개발 투자방향(안)'을 발표하며 ▲창발적 혁신을 유도하는 필연기술 투자, ▲지역 전략산업의 전환을 이끄는 기술혁신, ▲점진적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과학기술 투자 등 3대 기본방향을 제시했다.
이어진 전문가 패널 토론에서는 산업·기술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부산의 연구개발 투자 방향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제언을 제시했다. 특히 토론에서는 투자 전략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 기반 분석, 지역 산업의 특수성과 연계된 기술 개발, 신성장 산업 분야의 가능성 등 실질적 실행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다.
기계·제조 분야를 대표해 참여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호일 단장은 “연구개발 성과의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강화해 이를 토대로 맞춤형 투자 기준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연구원 허윤수 부원장은 “부산의 해양산업과 해양 관련 기업들이 충분히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는 만큼, 산업별로 특화된 방향성을 설정해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AI 분야에서는 동아대학교 옥수열 교수가 현장 중심의 데이터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실생활과 산업 전반에 AI를 효과적으로 접목하려면, 무엇보다 현장 데이터를 확보하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바이오 분야에서는 프레스티지 바이오파마아이디씨 강태흥 본부장이 발언에 나섰다. 그는 “부산이 보유한 방사성의약품 관련 인프라를 바탕으로 타 지역보다 선도적인 바이오산업 육성이 가능하다”며, “핵심 인프라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면 부산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과학기술 정책 분야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수현 선임전문관리원은 투자 우선순위 설정의 기준에 대해 언급하며, “단순히 유망해 보이는 분야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실질적인 경쟁력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인프라가 무엇인지 면밀히 검토하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BISTEP 김영부 원장은 “부산이 가진 고유의 특성과 강점을 살릴 수 있는 투자 분야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지역의 혁신기관 및 인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과학기술 기반의 지역 혁신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