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대학교는 산학협력단과 부산산학융합원이 공동으로 ‘지산학 생태계 조성과 인재양성을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 및 기술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윈덤 그랜드 부산에서 지난달 30일 열린 이번 행사엔 총 200여 명의 산학연 관계자가 참석, 부산 사하구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한 산학연 협력 기반 구축과 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공동의 실천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교육부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와 연계해 진행됐다. 동아대와 부산 사하구청을 비롯한 10개 산학연 기관이 참여한 다자간 업무협약(MOU) 체결식과 함께 스마트제조·AI, ESG 경영 등 최신 산업 이슈를 주제로 한 기술 세미나도 병행됐다.
이날 행사엔 이해우 동아대 총장, 김성재 동아대 글로컬대학추진단장, 이갑준 부산 사하구청장, 강기성 부산과학기술대 총장, 길경석 부산산학융합원장, 김광수 부산경영자총협회장, 이재만 부산지역산업진흥원장 등 주요 기관장들이 대거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특히 부산지역 산업단지를 대표하는 신평장림산업단지관리공단, 장림표면처리사업협동조합, 패션칼라산업협동조합, 수산물가공특화사업협동조합 등도 협약에 참여, 현장 기반의 산업 수요 연계형 협력체계 구축이 본격화됐다.
이번 협약과 행사는 △동아-동서 통합산단을 통한 지역혁신 체계 정착 △지산학 협력의 제도화 및 지속가능한 모델 개발 △글로컬대학30사업 추진을 위한 정책 및 행정기관과의 전략적 연계 강화라는 점에서 눈길을 끄는 가운데, 앞으로 정부 공모사업 및 국가정책 대응에도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서에는 △산업단지 기반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운영 △기업 수요 기반 R&D 및 기술 지원 △교육-취업 연계 기반 구축 △재직자·재학생 역량 강화 교육 △공동 활용 인프라 구축 및 자원 공유 △청년 일자리 창출 △글로컬대학30 수행 협력체계 등 총 8개 분야에 대한 협력 내용이 담겼다.
업무협약에 이어 진행된 세미나 세션에서는 ‘ESG 경영’(1부), ‘스마트제조와 AI’(2부)를 주제로 전문가 발표가 진행됐으며, 참가 기업들을 대상으로 ‘글로컬대학30’ 동아-동서 통합산단이 주도하는 기술사업화 브랜치 수요조사 및 네트워킹 프로그램, 간담회 및 만찬도 이어졌다.
동아대는 앞으로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 진행으로 체결된 협약 및 수요조사 내용을 기반으로 한 산학연 연계형 커리큘럼 개발, 인턴십 및 실무 프로젝트 확대, 동아-동서 통합산단의 성공적인 운영에 핵심이 될 브랜치 네트워크 거점 확보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해우 총장은 축사에서 “오늘 협약과 기술세미나를 통해 부산을 대표하는 신평장림산업단지를 포함한 서부산스마트밸리 기업, 대학, 지자체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세미나에서 다뤄진 ‘ESG 경영’과 ‘스마트제조 및 AI’ 분야에 대한 논의는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과 더불어 고령화, 현장인력 감소 등 산업 현장의 애로 사항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김성재 동아대 글로컬대학추진단장은 지산학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업의 핵심과제로 대학과 지역, 산업계가 공동으로 성장하고 확산하는 모델을 지속 개발·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